지난해 수주절벽, 내년 이후가 문제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제조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전기전자와 화학업종이 제조업 호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선은 올해도 실적부진이 계속됐다.
조선업은 2013년부터 매출액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올해는 3분기까지 전년대비 약 30%의 매출이 감소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이 같은 내용의 제조업 상장사 실적을 분석·발표 했다. 한경연송원근 부원장은 “일부 업종의 매출 증대 및 편중 효과가 심해진 한편 우리 경제의 또 다른 축인 조선과 자동차 업종은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투자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서 보여진 조선업 실적은 2016년 수주 절벽이 아직 포함되지 않은 상태다. 때문에 내년 조선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조선업은 업종 특성상 선박 수주가 2∼3년 후에 실질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선업의 어려움은 조선기자재 등 연관 전후방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해 10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사업다각화 5대 패키지 가동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 중 하나였던 R&D 지원을 통해 해상풍력 등 조선업과 연관된 유망분야 기술개발과제 우대 지원, 민간부담비율을 완화, 또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율을 완화했다. 정부에서 조선·조선기자재업에 에너지 시장 진입을 하라는 일종의 시그널을 보낸 것이다.
화답하듯 최근 조선업 밀집지역인 부산과 경남지역 조선해양기자재 업체들이 원전과 풍력발전 등으로 사업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기존 풍력업체들도 조선기자재 인력과 기업과의 협업에 적극적이다.
최근 해상풍력 시장에 집중하고 있는 한 풍력업체 관계자는 “올해 지자체에서 조선업 관계자들을 매칭시켜주는 자리마련이 몇 번 있었다”며 “부유식 해상풍력의 경우, 조선 및 전방위 기술들이 접목되면 빠른속도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을만큼 관련 기술수준이 높다”고 밝혔다.
고도화 된 조선 및 기자재 업체와 기술을 활용할 경우 해상풍력의 블레이드와 기어박스 등 핵심 산업, 타워 등 20여 품목에 대해 시장 진출이 가능하고, 수주 가능 물량 역시 300MW급, 4,000억원에 이른다.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63.8GW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이중 48.7GW에 달하는 신규 설비용량이 태양광과 풍력이고, 이 중 풍력발전이 16.5GW를 담당하게 된다.
계획입지제도 도입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아 해상풍력이 대안이 될 것으로 본다면, 국내 조선업의 해상풍력 진출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계획의 효과적인 목표 달성, 또 내년부터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될 조선업계의 유일한 돌파구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