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가상시공·부재 모듈화 제작·로봇 통한 현장 조립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자동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건설현장 노동생산성을 40%까지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30% 감소시키는 중장기 계획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향후 5년간인 2022년까지 건설기술정책 로드맵인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 투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한편, 건설생산성은 20년간 정체되어 선진국의 3분의 1에 불과하며 건설산업은 전통적인 로우테크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 건설 엔지니어링 입·낙찰 평가 기준은 낮은 기술 변별력으로 인해 업체의 기술력을 높이는 유인이 부족하고, 해외의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시장은 선진국 업체가 과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기술 개발을 통해 생산성·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엔지니어링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2대 주요 전략과 6개 분야 10개 추진과제를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건설 엔지니어링 국제 경쟁력 강화, 유지관리 및 건설안전 강화 3가지이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현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정밀 시공이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 설계기술인 BIM을 활용해 가상으로 시공 한 후, 3D 프린터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어 공장에서 건설 부재를 모듈화해 제작하고, 인공지능(AI)을 탑재한 건설 로봇에 의해 조립·시공하는 건설자동화 기술을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드론, 사물인터넷(IoT) 센서, 초소형(마이크로) 로봇 등을 활용해 시설물의 이상을 신속하게 검지·대응하는 시스템 개발도 적극 추진한다. 또한 현재 개발 중에 있는 BIM 기술 활용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 기준 및 매뉴얼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500억 원 이상의 도로사업에 BIM 설계를 의무화한다. 그리고, 해외시장 진출에 유리한 메가스트럭쳐, 플랜트, 해저터널 등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사업에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건설 엔지니어링 국제 경쟁력 강화
2018년부터 건설 엔지니어링 발주제도를 국제표준과 유사하고 기술 변별력을 강화한 종합심사낙찰제로 전면 개편할 계획이다. 평가 방식을 현행 정량·절대평가 위주에서 용역을 수행할 전문적인 역량 등 기술력 중심의 정성·상대평가로 전환하여, 가격보다는 기술 경쟁을 통해 낙찰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낙찰률이 소폭 상승하게 되어 낮은 엔지니어링 대가 문제도 일부 현실화될 전망이다. 또한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의 설계·시공 능력 향상을 위해 ‘설계자가 주도하는 일괄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건설사업관리(CM) 관련 규정을 건설기술진흥법으로 일원화할 예정이다.
유지관리 및 건설안전 강화
한편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노후화되고 있는 시설물들을 선제적·예방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기본법을 제정, 현재 개발 중인 드론, 로봇 등 첨단 기술들을 시설물 유지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