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지난 22일 이창양 장관 주재로 ‘탄소중립 기술개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고, ‘4대 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날 라운드테이블에서 산업부는 ‘산업 부문 탄소중립 R&D 추진전략’을 발표했으며, 화학, 철강, 시멘트 및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4대 탄소다배출 업종의 대표기업들과 함께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탄소중립 기술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라운드테이블에는 포스코 김학동 부회장,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롯데케미칼 김교현 부회장, 현대제철 안동일 사장, SK하이닉스 김동섭 사장, 쌍용C&E 이현준 사장, 한일시멘트 전근식 사장, 삼성디스플레이 조성순 부사장 등 업종별 협회장 및 주요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철강 등 4대 업종은 지난 2018년 기준 산업 부문 배출량 2.6억t 중 72%인 1.9억t에 해당하는 다량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생산 공정에서 탄소감축 수단이 없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실현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업계와 함께 지난해부터 ‘4대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예타를 통과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탄소저감 기술개발에 본격 착수하게 됐다.
탄소중립 기술개발은 산업구조의 그린전환을 위한 첫 단추로서 1석 4조의 효과가 예상된다. 제품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할 수밖에 없는 우리 산업의 특성상 기술혁신은 유일한 탄소감축 수단이며, 그린 전환에 수반되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탄소중립의 시기를 앞당기면서, 저탄소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신공정 개발을 통해 글로벌 그린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4대 업종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050년 약 1.2억t의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되며, 이는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2018년 대비 약 2.1억t 감축의 절반을 넘어서는 규모(목표 대비 54%)다.
정부와 산업계는 개발기술을 즉시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전체 예산의 80%를 실증사업과 연계된 프로젝트에 투입하고, 업종별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발 성과를 업종 전체에 확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개발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사업화에 필요한 세제・금융지원 및 규제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개발 위해 2030년까지 9,352억원 투자
정부는 우선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9,352억원을 투자해 산업 부문 탄소저감 기술을 본격 개발한다. 이를 통해 나프타 전기분해로(화학), 수소환원제철(철강), 시멘트 제조시 유연탄과 석회석 원료의 대체,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저온난화 공정가스 등 핵심기술을 확보함은 물론, 산업 현장에 해당 기술들을 즉시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연계해 추진한다. 향후 지속적으로 신규 R&D 프로젝트를 발굴할 예정이다.
아울러, 개발된 탄소저감 기술들이 산업 현장에 활발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업종별로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술교류를 촉진한다. 또한, 실증 과제가 많아 실증 부지·설비 등 민간의 현물 투자 규모가 상당한 점을 고려해 부담 완화 차원에서 민간 현금 매칭 비율을 기존 대비 1/4로 낮추고, 한정된 전문 연구자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중견·중소기업의 참여 과제 수 제한(중소기업 3개, 중견기업 5개)을 철폐한다. 필요시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 한도(책임 수행 3개 內, 참여 5개 內)도 상향한다.
‘산업 부문 탄소중립 기술’ 투자세액 공제 지속 확대
이어 투자 촉진을 위해 산업 부문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를 지속 확대한다. 작년부터 ‘신성장·원천기술’ 투자세액 감면 대상에 포함된 수소환원제철 등 48개 기술에 이어 올해 2월부터 철강 단조·압연공정 등 13개 기술도 추가적으로 ‘신성장·원천기술’에 포함된다.
탄소중립 선도 프로젝트 특별융자(산업부, 1,470억원), 저탄소 산업구조 촉진프로그램(수출입은행, 3.5조원) 등 정책금융과 탄소중립 기술펀드(1000억원, 산업부) 등을 통해 탄소저감 기술의 사업화도 적극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가로막는 낡은 규제나 기준을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새로운 친환경제품에 대한 품질기준이나 신기술의 탄소감축 인정체계를 수립한다. 아울러,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국가표준 100종을 개발하고,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이날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현재와 같이 감축수단이 빈약한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탄소감축은 제조업의 역성장 등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해 탄소감축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R&D 참여부터 실제 설비를 운용하기까지 막대한 비용과 리스크가 수반되는 만큼, R&D 참여 부담 완화, 세제지원, 금융지원 등과 함께 규제 해소 등 제도적 지원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양 장관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산업부가 총력을 다해 지원할 것”임을 약속하며, “우리 기업들이 각개 전투하기보다는 하나의 팀이 돼 탄소중립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관련 시장도 함께 선점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는 탄소중립의 기술적·경제적 실현 가능성에 입각해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NDC 이행이 우리 기업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규제 대신 인센티브를 통한 탄소감축, 유연하고 탄력적인 이행 계획 수립, 정부와 민간의 공동노력 등 3대 원칙 하에 탄소중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