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모든 철강 알루미늄에 25% 추가 관세 10일부터 부과”
  • 한원석 기자
  • 승인 2025.02.10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캐나다 측 반발 “퀘벡서 美 알루미늄 수요 60% 공급… 中서 수입 선호하나“
中, 보복조치 나서… “LNG에 15%, 원유·농기계·대형차 등에 10% 추가 관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이를 취재진에 공개하고 있다. / 사진=AP통신,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이를 취재진에 공개하고 있다. / 사진=AP통신,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10일(현지시간)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기존 관세에 더해 25%의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미국 프로풋볼(NFL) 결승전인 슈퍼볼이 열리는 뉴올리언스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러한 계획을 말했다고 로이터와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이나 12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어 보복 관세(reciprocal tariff) 계획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우리가 다른 나라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하기 위해 이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관세 조치가) 즉시 발효돼 모든 국가에 적용하고 각 국가가 부과하는 관세율과 일치시킬 것”이라면서 “아주 간단하게(very simply) 만약 그들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에 25% 관세를,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한 바 있다. 당시 한국은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도입했다.

미국의 철강 수입국은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이며, 한국과 베트남이 그 뒤를 잇고 있다고 미국 정부 및 미국철강협회(AISI)가 밝혔다.

수력 발전이 풍부한 캐나다는 미국에 대한 주요 알루미늄 금속의 최대 공급국으로 2024년 11월까지 미국의 알루미늄 총 수입량의 79%를 차지했다.

이 발언이 보도되자 캐나다 측은 반발했다. 프랑수아 르고 퀘벡주 총리는 X에 “퀘벡은 (미국에) 290만t의 알루미늄을 수출하는데, 이는 미국 수요의 60%에 해당한다”면서 “그들(미국)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것을 선호하나?”라고 꼬집었다.

프랑수아 필립 샴페인 캐나다 혁신부 장관도 X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 철강과 알루미늄은 방위, 조선, 자동차 등 미국 내 주요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1기 시절 관세 부과 이후인 2019년 미국 내 제철소 설비 가동률은 80% 이상으로 급증했지만, 이후 중국의 글로벌 공급으로 철강 가격이 하락하면서 감소했다.

일본 신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일본의 신일본제철이 US스틸에 투자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지만 대주주가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가 (US스틸을) 다시 성공적으로 만들 것이고, 그 회사는 좋은 경영을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대(對)중국 10% 관세 인상에 맞서 10일 0시(베이징 현지시간)부터 보복 관세 부과를 개시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릴 방침이다. 이 밖에 중국은 구글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와 텅스텐 및 텔루륨 등 광물 수출 통제, 미국 PVH그룹과 일루미나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개인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등 다수의 보복 조치도 함께 시행했다.

앞서 허융첸(何詠前)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6일 미국이 중국의 대미 수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소액 면세 정책을 조정한 것에 대해 “의심할 여지 없이 미국 현지 소비자의 소비 비용을 높이고 구매 경험을 축소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허 대변인은 “중국은 무역 분쟁을 주도적으로 일으키지 않을 것이며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면서도 “일방적인 따돌림(單邊霸凌)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치를 취해 스스로의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