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상수지 흑자 101억달러…에너지 가격 하락·배당소득 증가 영향
  • 이주엽 기자
  • 승인 2025.07.04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품수지·본원소득수지 호조
수출은 4개월 만에 감소 전환
올해 3월 경상수지가 91억4000만달러를 기록하며 23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사진 = 한국은행<br>
에너지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수입 감소와 배당 소득 증가에 힘입어 지난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달러를 넘어섰다 / 사진 = 한국은행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에너지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와 배당소득 증가 등에 힘입어 100억 달러를 웃도는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5개월 연속 흑자이자 5월 기준으로는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 경상수지는 101억4000만달러(약 13조8300억원) 흑자를 나타냈다. 이는 전월(57억달러) 및 지난해 같은 달(90억9000만 달러)을 모두 상회한 수치다. 5월 기준으로는 2021년(113억1000만달러), 2016년(104억9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규모다.

올해 1∼5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351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270억6000만달러) 대비 80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 흑자가 106억6000만달러로, 전월(89억9000만달러) 대비 17억달러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5월(88억2000만달러)과 비교해도 약 18억달러 확대됐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 품목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철강, 석유제품 등 비IT 품목이 부진하면서 569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8% 감소했다. 이는 4개월 만의 감소로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통관 기준으로는 반도체(20.6%)·의약품(12.2%)·컴퓨터주변기기(5.3%) 등이 증가한 반면, 석유제품(-20.0%)·철강(-9.6%)·승용차(-5.6%)는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8.2%)와 EU(4.0%) 수출이 늘었지만, 일본(-9.0%)·미국(-8.1%)·중국(-8.4%)은 부진했다.

수입은 462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2% 줄었다. 특히 석탄(-31.6%), 석유제품(-30.0%), 원유(-14.0%) 등 에너지 관련 원자재 수입이 13.7% 감소한 영향이 컸다. 반면 수송장비(46.8%), 반도체 제조장비(26.1%), 정보통신기기(16.5%) 등 자본재 수입은 4.9%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22억8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폭은 전월(-28억3000만달러)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지난해 같은 달(-12억2000만달러)보다는 확대됐다. 특히 여행수지 적자는 9억5000만달러로, 5월 연휴 기간 중 해외여행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원소득수지는 전월 1억9000만달러 적자에서 5월 21억5000만달러 흑자로 전환됐다. 이는 4월에 집중됐던 외국인 배당 지급이 마무리된 계절적 요인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