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터뷰] 브이피피랩,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시행… VPP 사업자 역할 기대
  • 이건오 기자
  • 승인 2023.08.07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병학 대표, “관련 사업자 활발한 참여 위해 명확한 제도 제시돼야”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재생에너지를 전력시장에서 유연하게 운용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 마련이 이뤄지고 있다.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계통, 밸런스 등의 이슈 해결을 위해 오는 10월, 제주를 시범으로 ‘전력시장제도 개선’ 사업이 추진된다. 실시간, 예비력, 재생에너지입찰제도 등을 골자로 하는 이 사업에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시장구조 개편과 전국 확대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내야 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본지는 제주에 본사를 두고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과 실시간 전력시장, VPP(비상발전소, Virtual Power Plant) 등 수요반응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브이피피랩(VPPlab) 차병학 대표와 전력시장제도 개선을 주제로 관련 내용을 살폈다.

브이피피랩 차병학 대표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오는 10월부터 제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될 예정인 ‘전력시장제도 개선’ 사업과 관련해 대응하고 있는 사항은?

브이피피랩은 풍력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를 통해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의 경우, <전력량 정산금 + 예측 인센티브>를 받는 구조로 발전사업자의 수익을 추가 창출하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입찰제도가 도입되면 수익구조는 <전력량 정산금 + 용량요금 + 부가정산금 - 임밸런스 페널티>로 구성된다.

용량요금의 경우 기준용량가격(RCP, 약 10원/kwh으로 추정)을 추가 정산 받을 수 있으나 국내 육·해상 풍력발전 LCOE는 각각 141.5원/kWh과 283원/kWh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용량요금은 큰 이점으로 작용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은 임밸런스 페널티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며, 당사 또한 해당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당사는 최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를 위한 VPP 통합플랫폼, ISO-DSO 협력체계 운영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에 참여하며 VPP 통합플랫폼 개발 및 실시간 시장 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한 기대점과 우려점은?

먼저 기대되는 점은 VPP 사업자의 역할이 확대되는 부분이다. 기존 VPP 사업자의 경우, 발전량 예측제도 및 REC 거래에 대한 권한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시범사업은 VPP 자원도 발전자원으로 인정받아 VPP 사업자도 전력량 정산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개편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 3원/kWh, 4원/kWh의 시장에서 SMP로 정산 받을 수 있는 시장으로 개편됨을 의미이며, VPP 사업자들에게 큰 이점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우려되는 점은 시범사업이므로 제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전력거래소에 공개돼 있는 시범사업 관련 자료는 2022년 12월에 올라온 자료다. 현 시점까지도 지속적으로 시범사업 정산방식이 변경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상 수익이 달라지는 리스크가 있다.

브이피피랩이 구축한 제주첨단과학단지 내 마이크로그리드 및 V2G 실증 현장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정적인 수급 균형을 위해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안정적인 수급 균형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VPP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VPP는 다양한 분산자원을 하나의 발전소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분산자원 최적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예측된 발전량을 정확하게 응동할 수 있다면,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정적인 수급 균형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태양광, 풍력의 경우 환경적인 요인과 제어 범위가 적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ESS와 DR 자원과 같이 VPP 사업자가 제어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해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 DR 자원은 VPP 자원으로 취급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업 참여 기업이 집중해야 할 부분과 준비하고 있는 사업 방향은?

전력시장과 운영 방향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기술력 확보가 선결 과제다. 전력시장이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 관계자가 얽혀 있어 문제를 풀기가 쉽지 않은 분야다. 기업은 이익도 물론 생각해야 하지만, 계통의 안정성이라는 대의명분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의 핵심을 가져가야 하는 아주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발전사업자와 계통운영자, 주민과 소비자 모든 사이드에서 각각의 입장을 조정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이 필수라고 생각한다.

유례없는 전력시장 구조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목표나 계획은?

새로운 전력시장 개설 국면에서 첫 번째 플랫폼 공급자가 되는 것이 당면하고 있는 목표다. 나아가 진정한 의미의 분산형 전원 시대를 준비함에 있어 기술적, IT 솔루션으로 해결하는 VPP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궁극적인 목표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ESS, V2G, 플러스DR 등 다양한 에너지신사업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대중적인 솔루션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