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양이온의 특이성을 조합한 박막 제어… 내구성·효율 향상
UNIST 김봉수 교수 공동연구팀, 고성능 자가조립 정공수송층 개발
리튬이온배터리 전해질 기술 개발 통해 300회 충·방전 후에도 94.2% 성능 유지
핫홀 흐름 증폭과 실시간 분석 기술 통해 전환효율 향상 메커니즘 규명
대규모 태양광발전소와 복잡한 설치 환경에서도 최적의 성능 발휘
대면적 모듈서도 13.49% 효율 달성… 셀-투-모듈 효율 소실 기존 대비 2% 감소
UNIST·아주대, 고활성산소 환경서 안정성 확보한 산화환원 매개체 개발
섬유화 바인더 소재 적용 건식공정 통해 얇고 견고한 고체전해질막 제조
대면적 반투명 유기태양전지 모듈 면적서 고효율·안정성 확보
한국화학연구원 송창은 박사 연구팀, 효율 및 안정성 개선 기술 논문 발표
유기물과 무기물 이중 적층해 물리적·화학적 스트레스 극복
SUN2000-50KTL-M3 인버터와 옵티마이저 조합… 최적의 시스템 제공
환경오염 없는 태양광 폐패널 재자원화 기술, 세계 최초 구현
KAIST-연세대, 근적외선 광 포집 극대화하는 혁신적 다이폴 기술 개발
‘주석-철 화합물(FeSn2)’ 음극재 제시… 기존 대비 높은 용량 및 안정성 확보
GIST 기계로봇공학부 이승현 교수팀, 전기차 충전 시 고발열 문제 해결하는 냉각 방법 개발
KAIST 한동수 교수팀 “저비용 환경서 대규모 AI 모델 학습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