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트랜스 토커’ 고객 확대 속도 낸다
  • 한현실 기자
  • 승인 2024.09.11 13: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교통공사와 함께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에서 ‘트랜스 토커’ 상용화 개시
외국인 유학생 증가한 영남대학교, 상담 시각화 추진하는 신한은행과도 계약 체결

[인더스트리뉴스 한현실 기자] SK텔레콤은 롯데백화점에 이어 부산교통공사·영남대학교·신한은행과 ‘트랜스 토커’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 성동구 소재 신한은행 한양대학교 지점에서 외국인이 ‘트랜스 토커’를 활용해 직원과 상담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서울시 성동구 소재 신한은행 한양대학교 지점에서 외국인이 ‘트랜스 토커’를 활용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지난 4월 출시된 ‘트랜스 토커’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총 13개 언어를 지원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후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난다.

SKT는 부산교통공사와 함께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해, 11일부터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부산교통공사는 외국인 관광객이 더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대면으로 ‘트랜스 토커’를 운영한다. 관광객 이동이 많은 위치에 ‘트랜스 토커’를 도입해 역 고객센터 방문 없이 통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SKT는 영남대학교와도 손을 잡고 지난 7월부터 AI 동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영남대학교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언어 장벽을 해소하고, 행정 서비스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트랜스 토커’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SKT는 신한은행과도 협업해 8월부터 ‘트랜스 토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신한은행은 ‘트랜스 토커’의 스크린 자막을 통해 외국인 고객은 물론 청각 장애인이나 시니어 고객이 금융업무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한은행은 시니어 고객 방문이 많은 ‘신림동 지점’과 외국인 유학생이 자주 찾는 ‘한양대학교 지점’에서 AI 동시통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향후 서비스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이번 공급 계약 확대는 13개 언어 지원, 실시간 통역 등 트랜스 토커의 장점을 고객들이 높게 평가해 준 결과”라며, “앞으로도 AI와 결합된 다양한 B2B 상품을 개발해 고객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