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보, AI 기반 차사고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 특허 취득
  • 홍윤기 기자
  • 승인 2025.04.23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실비율 산정 가능 전망"..."보험 관련 AI 기술 확대"
DB손해보험 사옥/ 사진 = DB손해보험
DB손해보험 사옥/ 사진 = DB손해보험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DB손해보험은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활용한 AI 자동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을 개발해 특허를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에 기록된 영상을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분석해 사고 상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과실비율을 산정하는 첨단 기술이다.

DB손보 관계자는 “기존에는 보험 심사자가 수작업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고 과실비율을 판정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었다”면서 “이번 AI 시스템 도입으로 보험금 청구에서 지급까지의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처리 시간 단축은 물론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실비율 산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DB손보는 지난해 11월 광화문국제특허법률사무소와 오픈이노베이션 및 기술보호정책보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이를 통해 블랙박스 AI 과실판정 시스템의 특허 출원 및 등록 과정에서 전문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DB손보는 블랙박스 과실판정시스템이 완전히 개발 완료되면 실제 보험 업무에 적용해 보험금 청구 및 지급 과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더 높일 방침이다.

아울러 AI 기반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보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보험산업 진출을 지원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보험 기술 연구 개발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심진섭 DB손보 전략혁신본부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과실비율 판정은 보험 처리 과정의 자동화 및 객관화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이라며 "향후 다양한 보험 분야에서 AI 기술 적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DB손보 관계자는 "이번 특허 취득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험 서비스 혁신에 대한 DB손보의 의지를 보여주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서비스 개선과 업무 효율화를 위한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