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한덕수 후보됐으면 국힘은 내란당" 권영세 직격…당 내홍 지속
"칼 쓰지도 못하는 사람 데려와 놓고 수술하라는 건 어불성설" 주장도

[인더스트리뉴스 성기노 기자]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인적 쇄신을 둘러싼 내부 갈등은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최근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잘못된 과거에 사과하지 않는 인사를 '인적쇄신 0순위'라고 압박하며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선이 높은 상황이다. 특히 전·현 지도부가 공개적으로 인적 쇄신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혁신 동력이 사그라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14일 비대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가 추진 중인 인적 쇄신에 대해 "어떤 사람을 내치는 것은 혁신의 최종 목표가 아니다"고 말했다.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도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현역 의원) 107명이 똘똘 뭉쳐도 부족할 판에 여기 떼고 저기 떼고 뭘 하겠다는 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그러면서 "인적 청산이 필요하더라도 앞으로 3년 뒤에 총선이 있는 만큼 거기로 조금 넘겨 놓는 건 어떻겠나"라고 했다.
권 전 위원장은 윤 위원장이 '인적 쇄신 대상 8대 사건' 중 하나로 대선 후보 교체 시도를 포함한 데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며 "의원 64명 중 60명이 지도부가 직권으로 단일화 절차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임무를 준 것"이라고 말했다.
전·현 비대위원장이 윤희숙 혁신위에 냉랭한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왜 무리하게 말도 안 되는 한덕수 옹립 작전을 폈는지 털어놔야 한다"고 권 전 위원장을 겨냥한 글을 올렸다.
그는 "만약 권영세 의원 작전이 성공해 내란혐의 대상자로 수사받게 될 한덕수 전 총리를 억지로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만들었더라면 국민의힘은 진짜 내란당이 됐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장동혁 의원은 혁신위가 내부 총질만한다고, 나경원의원도 민주당의 폭정에 맞선 당권과 국민의 헌신을 헛되지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혁신안이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탄핵 찬성파인 친한계의 지지가 필요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으로 혁신위의 동력은 더욱 떨어지고 있다.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CBS 라디오 '주말 뉴스쇼'에 출연해 "인적 청산이나 사람들에 대한 문제는 싹 접어두고 어마어마해 보이는 개혁안을 내면 개혁이 될까"라며 "뭐가 달라질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전임 혁신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은 2호 혁신안에 대해 "당원의 최고위원 선택권을 빼앗아 대표에게 헌납하는 건 당내 민주주의에 역행한다"고 비판했다.
이렇게 윤희숙 혁신위원장 체제가 삐걱거리는 것에 대해 두 가지 당내 반응이 나온다. 먼저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쇄신의 전권을 보장받지 못할 경우 전격 사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윤 위원장이 앞서의 김용태 전 혁신위원장처럼 실권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쇄신을 추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조기 사퇴를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권영세 권성동 등의 친윤파 주류들이 여전히 당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윤 위원장이 쇄신의 전권을 전혀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윤희숙 혁신안이 당 내부의 반발에 직면하는 것을 두고 윤 위원장의 정치력 부재라는 지적도 나온다. 윤 위원장이 쇄신을 하는 것은 좋은데 아무런 사전정지작업이나 당내 공감대 없이 본인만 마음이 급해 설익은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친윤파는 물론 당 전체의 총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김용태 전 혁신위원장의 5대 혁신안과 마찬가지로 당과 소통 없이 갑작스러운 발표에 반발 심리가 커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당 일각에서는 "역대 혁신위를 보면 하루 이틀 만에 혁신안이 나오지 않았다. 시간이 없어도 절차는 밟아야 한다"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당내 반발 목소리가 커지면서 혁신안을 당 비대위가 수용할지도 미지수다. 당 내부에서는 "애초에 칼을 쓰지도 못할 사람을 데려와 놓고 아픈 부위를 수술하라고 하는 것이 말이 안 되는 얘기였다. 윤희숙 혁신위 체제도 오래 버티지 못할 것 같다"는 비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