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경에 맞는 정책 도입과 함께 기업 지원정책 늘려야
[Industry News 박규찬 기자] 독일은 '첨단기술전략 2020'에 포함된 인더스트리 4.0을 2015년 부터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으로 전환하며 사물인터넷, 스마트 팩토리 등을 통해 산업 생산성 30%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인더스트리 4.0 접근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제조공정 디지털화 전략 개선, 표준화, 데이터 보완, 제도정보 및 인력 육성을 새로운 과제로 내세웠다.
미국은 2011년,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의 권고로 첨단 제조 파트너십(AMP) 프로그램 발족을 시작으로 2013년 스마트제조선도기업연합이 청정에너지제조혁신계약을 체결하고 스마트제조 연구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2013년 산업재흥플랜에 기반을 둔 과학기술혁신 정책을 바탕으로 첨단 설비투자 촉진과 과학기술혁신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차세대 e-공장 실현을 위해 다기업 조직구조 형성과 전체 공급사슬을 위한 솔루션 혁신 및 공동의 제품 개발, 제조, 마케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전략을 수립하고 2025년까지 제조업강국 반열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을 인수하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2045년에는 글로벌 리더로 발돋움 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하며 차세대 IT기술, 로봇 등의 10대 육성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한국은 정부 주도로 '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하며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와 융합신제품 생산에 필요한 8대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제조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해 정부 R&D 자금을 전략적이고 효율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또한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을 설립해 오는 2020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2만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