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종전선언 이뤄지면, 북한 신재생에너지 시장 열리나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8.04.27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4·27 판문점 선언’에서 종전 선언이 이뤄질지 전 세계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또한, 북한 정상이 군사분계선으로 넘어 남한 땅을 밟는 역사적인 현장을 생중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재생에너지 중심 개발로 시장 퀀텀점프 기대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의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이며, 남북 협력의 핵심 사안 중 하나인 에너지 특히, 전력 분야의 협력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전력은 현재 북한이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다.

NASA의 인공위성 사진 속 평양의 모습을 보고 프랑스 옵세르바데르는 “마치 검은 바다 속에 깜박이는 작은 섬처럼 보인다”라고 말했다. 남한은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이 골고루 빛을 발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평양만이 외로이 불을 밝히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NASA 인공위성으로 찍은 한반도의 야간 [사진=NASA]
NASA 인공위성으로 찍은 한반도의 야간 [사진=NASA]

전문가에 따르면, 북한에 연간 3.87kWh의 전력만 공급해도 북한 경제성장률이 1% 가량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연간 발전량의 약 1%도 안 되는 전력만 공급해도 북한 경제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량 증가 및 송전망 연계가 필수적이고 이는 미래 통일비용 절약을 위해서도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통일부 북한정보포털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43만kW로 한국의 9,765만kW에 비해 7.6%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15년 기준 북한의 총발전량은 수력 100억kWh(52.6%), 화력 90억kWh로 한국의 총발전량 5,281억kWh의 3.6%에 불과하다.

특히, 북한 전력설비는 노후화 된 상황이고, 최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전력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태양광 발전 설비를 사들이고 있으며 전기 관련 연간 수입물량은 2014년 기준 4억2,500만달러 규모로 이 중 98.8%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발전구조 및 발전설비이용률 [자료=통일부 북한정보포털, 중국 옌벤대학 한반도연구협동혁신센터]
북한 발전구조 및 발전설비이용률 [자료=통일부 북한정보포털, 중국 옌벤대학 한반도연구협동혁신센터]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남북화해와 통일 한국을 대비해 북한에 태양광 보급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화두를 던지며, “정치·경제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를 민생용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전력 사정은 취약하지만 큰 발전소를 짓는다 해도 송전시설 등의 문제로 광범위한 보급이 어렵다”며, “태양광은 분산형 전력공급이 가능해 이런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는 남북 모드로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전망하기가 쉽지 않다”며, “다만, 산업화와 개방의 과정에서 북한은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데 우리나라의 여러 경험과 노하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이 시장을 중국이 장악한다면 너무 아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통 인프라가 취약한 북한의 전력 시장을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퀀텀점프가 가능한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북의 전력협력은 남북한의 정치적 긴장관계의 완화뿐만 아니라 남한 에너지 관련 업계의 성장과 북한의 전체적인 경제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사안이다. 더불어, 국가 간 전력 교류를 위해 구축하는 대륙 규모 광역 전력망인 슈퍼그리드가 러시아와 중국, 몽골, 한국, 일본을 아우를 가능성도 있어 향후 남북 교류가 시장에 큰 바람을 일으킬 전망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