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너지(JINERGY) 리요우 양(Li You Yang) CEO “OEM, 프로젝트 투자, 특수 모듈 설계 등 차별화된 맞춤형 솔루션 제공”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야 기자] 중국에서 HJT 태양광 모듈을 대량 생산한 최초의 PV 제조기업인 지너지(JINERGY)의 리요우 양(Li You Yang) CEO는 “2018년 당사는 글로벌 신에너지 500대 기업 및 중국 태양광 모듈 20대 기업으로 다시 선정됐다”면서, “당사는 2018년 1.5GW 이상의 출하량을 기록했으며, 그중 수출량은 700MW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너지(JINERGY) 리 유 웽(Li You Wang) CEO [사진=JINERGY]](/news/photo/201902/29281_21749_229.jpg)
JINERGY가 주력하고 있는 태양광 제품을 소개한다면?
당사의 주요 제품으로는 고효율 다결정 모듈, 고효율 단결정 PERC 모듈 및 초고효율 이질 접합(HJT) 모듈이 있다. 그중 당사 고효율 다결정 모듈은 CQC 리더 인증을 받았으며, 모듈 효율은 17.1% 이상, 제품 수율은 60% 이상으로 우수한 염소 분무 내성, 암모니아가스 부식 내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사용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고효율 단결정 PERC 모듈은 이미 CQC, CGC 리더 인증을 받았으며, 업계 선두의 후면 보호막(Back Passivation) 및 국소 BSF(Back Surface Field) 기술을 적용했고, 진보된 배터리 후처리 공정은 PERC 배터리의 추가 감쇠를 제거했으며, 보다 높은 전환 효율은 와트당 시스템 원가를 절감하고 있다.
초고효율 이질 접합 모듈(HJT)은 양면 발전 성능을 보유해 후면 10~30%의 추가 발전량이 발생하고, 내고온, 저감쇠 및 미광 성능은 모두 현저한 우위를 갖추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일반 모듈보다 발전량이 44% 이상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최저 KWh 원가를 구현하고 있다. 1500V 시스템 전압은 와트당 조성 원가를 낮출 수 있다.
![PERC와 HJT 태양광 모듈을 대량생산하고 있는 JINERGY 회사 전경 [사진=JINERGY]](/news/photo/201902/29281_21750_2249.jpg)
JINERGY의 글로벌 시장확대 전략은 무엇인가?
당사 고객에 대해서는 제품의 가성비, 기술 우위성, 신뢰성이 모두 중요하다. 당사 설립 후 국내외에서 출하량과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도 당사 제품의 기술, 품질에 대한 고객의 긍정적인 평가를 말하고 있다. 당사는 기술 업그레이드 전략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모듈의 발전 효율과 출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며, 품질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고객에게 신뢰성 있는 품질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이와 함께 전문적인 프로젝트 개발업체 선정 및 협력을 추진해 태양광 발전소 사업에 선진적 기술 및 KWh 전력 원가 우위를 갖춘 제품을 공급할 것이다.
JINERGY가 한국시장에 주목하는 이유와 한국 기업과의 파트너십 계획이 있다면?
당사의 여러 다결정, 단결정 PERC 모듈이 KS인증을 받았다. 파트너로는 H&L, DOONAM 등의 회사가 있다.
![PV 대량생산을 위한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기술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JINERGY의 셀 제조라인 [사진=JINERGY]](/news/photo/201902/29281_21751_2319.jpg)
한국시장에서 JINERGY만의 차별화 전략은 무엇인가?
한국에서 고객이 토지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당사의 고효율 단결정 PERC와 초고효율 이질 접합(HJT) 모듈을 더 많이 보급하고, 맞춤화 서비스를 적극 모색해 보다 많은 한국 고객들에게 1:1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JINERGY의 R&D 계획 및 제조가격 경쟁력 확보 전략은 무엇인가?
당사는 고효율 다결정, 단결정 PERC 및 초고효율 이질 접합 3세대 제품의 발전 출력과 발전 효율을 지속적으로 높여 LCOE 저감 및 태양광의 저가 전력망 접속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초고효율 이질 접합(HJT) 제품 중 높은 원가 부분에 대해 전문 원가절감 계획을 수립해 전도성 실버 페이스트, Flocking Additives 등에서 1차 성과를 거뒀으며, 2019년에 HJT 제품의 전체 원가와 일반 다결정 제품의 차이를 20% 이내로 줄이고, 향후 10% 이내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JINERGY는 지난해 고효율 다결정 모듈 및 PERC 단결정 태양광 모듈의 KS인증을 획득했다. [사진=JINERGY]](/news/photo/201902/29281_21752_2346.jpg)
최근 중국 태양광 시장의 주요 이슈는 무엇인가?
현재 중국 태양광 업계는 보조금에 의존한 상태에서 저가 전력망 접속의 과도기를 거치고 있으며, 선진 기술을 많이 적용하는 리더 사업, 저가 전력망 접속 사업은 기술형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이슈다. 또한 사용자와 가까운, 태양광 에너지 자원 분포 특징에 맞는 가정용 분산형 및 상공업 분산형 시장은 태양광 발전의 KWh 원가의 절감에 따라 급속히 부상하고 있다.
JINERGY의 2019년 사업계획과 포부를 밝힌다면?
2019년에 당사는 보다 많은 한국 회사와 협력할 것이며, 일반적인 모듈 무역 외에 OEM, 프로젝트 투자, 특수 모듈 설계 등의 경로를 통해 한국 고객들의 다양한 수요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