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중국 정부가 산업부문에서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이를 통해 중국이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에너지시장 인사이트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생태환경부, 공업정보화부 등 6개 부처는 ‘산업부문 탄소배출 피크 시행방안’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시행방안을 통해 2025년까지 산업 및 에너지부문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개선하고, 에너지 자원 이용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친환경 공장 및 산업단지를 건설하고, 탄소배출량 감축효과가 탁월한 저탄소·넷제로·CCUS 관련 기술·장비·제품 보급을 확대해 산업공정 및 에너지부문에서의 탄소배출 피크 목표시점 달성을 위한 기반을 다지겠다는 목표다.
2025년까지 구체적 목표로는 △연매출 2,000만 위안 이상 기업의 에너지원단위를 2020년보다 13.5% 감축 △기업당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감축폭을 사회 전체의 감축폭보다 확대 △주요 업계의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의 커다란 감축 등을 제시함했다.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산업구조 조정을 강화하고, 산업부문의 에너지원단위 및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를 지속 감축한다. 고효율·친환경·순환·저탄소로 대표되는 현대적 산업시스템을 구축해 탄소배출 피크 달성시점을 2030년으로 정했다.
중국은 2030년 탄소배출 피크시점 달성을 위한 주요 방안으로 △산업구조 조정 강화 △에너지절감 및 탄소배출량 감축 확대 △녹색제조 확대 △순환경제 추진 △주요 업계별 탄소피크 방안 등을 제시했다.
산업구조 조정 강화
석유화학・철강・비철금속 산업시설의 위치를 계획에 따라 선정, 이전, 밀집화해 탄소배출량 감축에 용이한 산업구조로 재편한다. 에너지다소비 및 탄소다배출산업 진입을 엄격히 규제하며, 건설 중인 해당 사업을 전면 조사해 규정된 조건들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업들은 건설을 중단하거나 시정해야 한다.
또한, 철강·시멘트·평면유리·전해 알루미늄 등 업계의 기존 생산설비를 친환경・저탄소 설비로 교체해야한다. 주요 업계의 과잉 생산능력 분석·경보를 강화해 과잉 생산능력을 해소하고, 노후 생산설비를 폐쇄할 것으로 제시했다.
에너지절감 및 탄소배출량 감축 확대
철강, 건자재, 석유화학, 화학, 비철금속 등 업계의 석탄사용을 감축·대체하고, 산업용 가스 및 화학원료용 가스 사용을 늘리도록 제시했다. 또한, 수소에너지의 생산·저장·수송·판매 등 전체 가치사슬의 성장을 도모하며, 기업과 산업단지에서 근거리의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도록 권고했다.
산업부문의 전기화(electrification) 수준을 높이고, 친환경 마이크로그리드를 조속히 건설할 뿐만 아니라 철강, 건자재, 석유화학, 화학, 비철금속 등 주요 업계에 부과되는 전기요금에 차등요금제와 누진제 등을 도입・시행할 것을 제시했다.
녹색제조 확대
넷제로 및 에너지효율이 높은 저탄소·녹색형 공장을 건설하며, 해당 공장은 연간 저탄소녹색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해야 한다. 제품설계, 원료구매, 생산, 수송, 저장, 사용, 회수 등 전 과정에 저탄소 녹색 방식을 적용하고 통일된 녹색상품인증 및 인증마크 체계를 구축해 전체 공급사슬의 저탄소 녹색 성장을 추진한다. 산업 폐열, 폐수 등의 자원을 활용하고, 녹색전력 사용률을 제고하는 녹색산업단지를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순환경제 추진
시멘트기업은 非탄산염 원료를 사용하고, 특정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원으로 수소를 생산하며, 석탄가스화·합성암모니아·메탄올 등 원료구조를 개선하는 등 기존 원료를 저탄소원료로 대체하도록 했다.
폐철, 폐비철금속, 폐지, 폐플라스틱, 폐타이어 등 자원 재활용과 관련한 업계 규범을 시행하고, 기업들이 탄소발자국을 공개하도록 장려한다. 또한, 철강, 구리, 알루미늄, 납, 아연, 리튬, 코발트, 니켈, 텅스텐 등의 자원을 재활용하며, 태양광모듈, 풍력 블레이드 등의 폐부품 재활용 방법과 기술을 연구한다.
전기전자, 자동차 등 제품은 생산자 책임연장제도를 시행하며, 신에너지차(New Energy Vehicle, NEV) 배터리 회수 시스템을 구축한다. 2025년까지 공업부문 고체폐기물 종합 이용률을 57%로 확대하고, 2030년에는 62%까지 확대할 것을 제시했다.
철강, 화학 등 주요업계 탄소피크 시행방안 마련
이와 함께 철강, 건자재, 화학, 석유화학, 비철금속 등 주요업계의 탄소피크 시행방안도 마련했다. 소비재, 설비제조, 전자 등 업계의 저탄소 성장 로드맵을 연구하는 등 업계별 정책을 시행해 탄소배출량 원단위를 지속 감축하고 탄소배출량을 규제한다.
철강의 경우, 2025년까지 폐철강 가공 기업의 연간 가공능력을 1억8,000만t 이상으로 확대하고, 전기로 제강 비중을 15% 이상으로 확대한다. 2030년까지 수소 수직가열로 직접환원철, 탄소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Utilization and Storage, CCUS) 등 기술을 혁신 및 활용하고, 전기로 제강 비중을 20% 이상으로 확대한다.
건자재는 2025년까지 시멘트 클링커(cement clinker) 제품당 종합 에너지소비량을 3% 이상 감축한다. 2030년까지 원재료 대체율을 대폭 제고하고, 시멘트·유리·도자기 등 업계에 오염저감 및 탄소배출량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탄소녹색 생산라인을 구축한다.
석유화학·화학의 경우, 2025년까지 원유정제량에서 석유제품 생산량 비중을 40% 이하로 감축하고, 대규모 CCUS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올레핀, 에탄올 등 합성기술을 연구해 합성가스 활용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비철금속은 2025년까지 재생 구리 생산량을 400만t, 재생 알루미늄 생산량을 1,150만t까지 증대시키고, 재생 금속 공급 비중을 24% 이상으로 확대한다. 2030년에는 전해 알루미늄 생산 시 재생에너지원 사용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