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는 31일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 강경성 2차관은 이날 열린 에너지스토리지 산학연 간담회에서 “2036년 세계 ESS 시장 점유율 35%를 목표로 미국·중국과 함께 세계 3대 ESS산업 강국으로 도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 차관은 “핵심 ESS 기술개발, 산업발전기반 조성, 화재대응 안전확보 등을 통해 에너지스토리지를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산업부가 발표한 ESS 산업 발전전략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산업부는 △장기 스토리지믹스 최적화 △시장 기반 활성화 및 보급 확대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ESS 기술 개발 △산업 기반 조성 및 글로벌 진출 지원 △안전관리 체계 강화 등 5개 전략과 14개 세부 추진 과제를 설정했다.
이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근거한다. 우선 2025년부터 연 600MW의 에너지저장설비를 확보한다. 저탄소중앙계약시장 등을 통해 ‘호남권’을 중심으로 2026년까지 총 1.4GW를 조달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과잉 발전 등 계통 안정성 확보가 급한 호남권을 먼저 고려한다.
ESS 산업 생태계 조성의 관건인 ‘화재’ 등 안전성 문제에는 기(旣)수립된 ESS 안전대책을 활용한다. 에너지스토리지 산업발전협의회 및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는 정상 가동한다. 이를 통해 소재·부품·기기 등 공급망과 인증 인프라를 확충하고 인력양성을 확대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세계 3대 ESS 산업 강국 도약’, ‘2036년 세계시장 점유율 35% 달성’ 등 비전을 수립했다. 산업부 분산에너지과 관계자는 “미국, 중국과 달리 국내 ESS 보급 시장은 오히려 축소되고 있다”며, “화재발생 및 이에 따른 지원정책 축소가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산업부는 대용량, 장주기 저장설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감안해 추가 양수발전 건설의 가능성도 검토한다. 유틸리티급 ESS 설비의 시장참여 확대, 산업용·주거용·이동형 등 수용가용 보급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는 별도 마련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장기계약시장 △재생e입찰시장 △저장전기판매사업 등과 연계한 방안도 필요하다. 전력사용 비중이 높은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이동형 ESS 등 신Biz-Model 개발 또한 요구된다.
이번 ESS 산업 발전전략계획에는 시기별·주기별 추진 전략이 제시됐다. 산업부는 ‘초격차 유지형(단기)’, ‘조기 상용화형(중기)’, ‘신시장 도전형(장기)’으로 단계를 나눴다.
단기적으론 리튬전지 초격차 유지 및 리튬인산철(LFP) 전지 양산을 조기에 추진한다. 30년 전후로 상용화 가능한 흐름전지, NaS전지 등은 중·장주기 기술로 설정했다. 저비용·고안정성·대용량화가 가능한 압축공기저장, 열저장(카르노) 등은 장주기 기술로 묶었다.
이 외 ‘ESS 해외시장 정보 시스템’ 및 ‘ESS 시스템 전주기 평가체계’ 구축의 내용도 발표에 포함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주기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국제공인·표준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 강경성 2차관은 이날 오후 LS일렉트릭 글로벌 연구개발(R&D) 캠퍼스(경기도 안양 소재)를 방문했다. 강 차관은 에너지저장장치 핵심 부품인 ‘전력변환장치(PCS)’ 개발 현장을 참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