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태양광 기업들,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미 수출 ‘안개 속’
  • 정한교 기자
  • 승인 2024.11.26 17: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 지지” 언급에 긍정 VS 무역 장벽 및 관세 리스크에 부정 전망 엇갈려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공화당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미국 태양광 산업계가 앞으로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변화가 예상되는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의 본격 행보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으로 인해 미국에 진출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gettyimage]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으로 인해 미국에 진출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모두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태양광 기업들은 미국의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규제로 수출로는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어려워지자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을 계기 삼아 미국에 직접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2023년 3월, 중국의 대표적인 글로벌 태양광 기업인 론지(LONGi), 진코솔라(JinKO), 후넌솔라(Hounen), JA솔라(JASOLAR), 트리나솔라(Trinasolar) 등이 연이어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24년 중국 태양광 기업이 미국에 상업가동 중이거나 건설할 예정인 태양광 설비규모가 약 30GW에 달했다. 론지는 2024년 1분기에 미국 오하이오주에 건설을 시작한 5GW 모듈 공장을 현재 가동하고 있으며, JA솔라는 2GW 모듈 생산설비를 계획에 따라 건설하고 있었다. 트리나솔라는 11월에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모듈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으로 인해 중국 태양광 산업에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모두 나타날 전망이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우선 미국 신재생에너지 수요 지속, 트럼프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태도 변화 등이 있을 것이라고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밝혔다.

혼돈의 美 태양광, 여전히 투자 가치 높아… 중국 기업들 기존 계획 ‘고수’

트럼프는 화석연료와 같은 전통에너지를 선호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토론 중에는 태양광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국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클 뿐만 아니라 수익성이 크기 때문에 미국 태양광 시장은 여전히 투자 가치가 높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당선인으로 인한 중국 태양광 산업의 부정적 영향으로는 무역 장벽 및 관세 리스크, IRA 폐지 공약 등을 꼽을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 정책을 지속하거나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되는 태양광 제품 규모가 크지 않아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무역 장벽이 강화되면 관련 제품의 시장성과 비용 구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당선인는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미국 공장 건설을 결정한 계기였던 IRA를 폐지하겠다고 공약으로 언급한 바 있다. 동 법안이 미국 경제의 주요 부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완전 폐지될 가능성은 낮지만, 조정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미국에 투자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에 공장을 건설 중인 대부분의 중국 태양광 기업들은 기존 계획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론지는 미국 현지에 생산설비를 갖추고, 이를 통해 무역장벽 리스크를 낮추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기업에 자회사나 자산을 매각하고, 협력 기업과 모듈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을 취하는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트리나솔라는 2024년 11월 1일 텍사스주에 공장을 가동한지 일주일 만에 프레이어 배터리(FREYR Battery)에 자산을 매각했다.

프레이어 배터리는 트리나솔라의 모듈을 계속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한편, 트리나솔라와 협력해 제품을 판매할 계획이다. 트리나솔라는 이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과 영향력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은 11월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 내 펜타닐 불법 유입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는 한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추가 관세에 더해 10%의 추가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1기 행정부 당시 상당수 중국 상품에 고율 관세를 매긴 트럼프 당선인에 이어 뒤이은 조 바이든 행정부 역시 중국의 과잉 생산이 자국 기업들을 불공정 경쟁에 내몬다는 이유로 일부 중국 상품 관세를 크게 올린 바 있다.

바이든 행정부에 이어 내년부터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펼쳐짐에 따라 중국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다시 한 번 변화를 맞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