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구글이 기존의 성능을 크게 능가하는 차세대 칩을 탑재한 새로운 양자 컴퓨터를 개발했다.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9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한 논문에서 기존 슈퍼 컴퓨터가 푸는 데 1자(10의 24제곱·septillion)년 걸리는 문제를 5분 만에 풀 수 있는 양자 컴퓨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과학계에서 우주의 나이로 추정하고 있는 138억년을 아득하게 넘어서는 천문학적인 수치로, 1자는 1조와 1경, 1해보다 큰 단위다.
구글이 개발한 양자 컴퓨터는 105개의 큐비트를 가진 양자 칩 ‘윌로우(Willow)’를 장착했다. 큐비트는 양자 컴퓨터에서 정보를 사용하는 기본 단위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기존 컴퓨터는 실리콘 칩에 0과 1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그 숫자를 더하고 곱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이를 동시에 처리해 한 번에 4개의 값을 가질 수 있어 기존 컴퓨터보다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큐비트는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으로 인해 아원자 입자와 같은 작은 물체에 의해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구글은 윌로우 칩의 큐비트를 함께 묶어 큐비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오류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방법을 찾았다. 또한 실시간으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는 양자 기계를 실용화하기 위한 핵심 단계라는 게 구글의 설명이다.
구글의 양자 인공지능(AI) 사업부를 이끄는 하트무트 네벤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기술의) 임계점을 지났다(We are past the break even point)”고 말했다.
구글은 언젠가 양자 컴퓨터가 오늘날의 컴퓨터로는 접근할 수 없는 의학, 배터리 화학, 인공 지능 분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칼텍·Caltech)의 이론 물리학자인 존 프리스킬은 NYT에 “아직 수십 년이 더 남았을지 모르지만, 우리는 결국 양자 컴퓨팅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