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기획] 물가는 뛰는데 ‘콘트롤타워’ 없는 정부…새해부터 식품값 인상 '봇물'
  • 서영길 기자
  • 승인 2025.01.26 10: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국 혼란 틈타 ‘올리고 보자’는 경쟁적 가격 인상 이어져
연초부터 커피·햄버거 등 주요 식품가격 인상 소식 줄이어
식품업계 “원자재값 상승·고환율 ‘이중고’로 격인상 불가피”
스타벅스코리아는 24일부터 카페 아메리카노 등 음료 22종의 숏(237㎖)·톨(355㎖) 사이즈 가격을 100~300원 인상했다.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고환율·고유가 등 여파로 새해부터 물가가 다시 꿈틀거리는 모양새다.

비상계엄 사태로 혼란한 정국을 틈타 정부 눈치볼 것 없이 ‘우선 올리고 보자’는 식품업계의 경쟁적 가격 인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2.2% 상승했다. 특히 식품의 경우 상승 폭이 평균치를 상회하는 수치인 2.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새해 일출이 떠오름과 거의 동시에 초콜릿·과자·음료·생필품 등 가격도 잇달아 인상되는 양상도 눈에 띄고 있다.

원재료값 상승에 비상계엄 등 정치적 혼란으로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에 육박하자 식품 업체들이 저마다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가격 인상 대열에 편승하려는 움직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연초부터 커피나 햄버거 등 주요 식품 가격 인상 소식이 줄을 잇고 있다.

버거킹은 대표 제품인 '와퍼'를 비롯한 일부 메뉴 가격을 24일부터 100원씩 인상했다. 와퍼는 7100원에서 7200원으로, 갈릭불고기와퍼는 7400원에서 7500원으로 올랐다. 프렌치프라이 가격도 100원(2100→2200원) 비싸졌다.

버거킹의 가격 인상은 2023년 3월 이후 약 22개월 만이다.

스타벅스코리아도 24일부터 카페 아메리카노 등 음료 22종의 숏(237㎖)·톨(355㎖) 사이즈 가격을 100~300원 인상했다. 톨사이즈 음료 가격을 올리는 것은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이번 인상으로 아메리카노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카페라떼는 5000원에서 5200원으로 뛰었다.

앞서 폴바셋은 23일 제품 28종 가격을 평균 3.4% 올렸다. 카페라떼 가격은 200원 오른 5900원, 롱고 가격은 400원 오른 5300원으로 책정됐다.

아울러 투썸플레이스와 할리스는 시즌 메뉴 가격을 올려 실질적인 가격 인상 효과를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투썸플레이스는 1~4월 한정 운영하는 딸기라떼 가격을 지난해 6500원에서 300원 올린 6800원으로 출시했다. 할리스 역시 딸기라떼를 6400원에서 6900원으로 올렸다.

업계에서는 커피업계의 맏형격인 스타벅스가 가격 인상에 나선만큼 커피 가격 인상의 연쇄적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민 생활과 밀접한 식품의 가격도 줄줄이 뛰고 있다.

대상은 16일 청정원 마요네즈, 드레싱 등 소스류 제품과 후추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앞서 업소용 딸기잼 가격을 최대 10% 인상한 바 있는 오뚜기는 2월부터 컵밥 7종 가격(편의점 판매가 기준)을 12.5% 올린다. 현재 4800원인 김치참치덮밥이나 차돌강된장보리밥 등의 가격이 5400원으로 오른다. 오뚜기 옛날 사골곰탕 제품(500g)은 2500원에서 3000원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이밖에 동아오츠카도 1일부터 포카리스웨트, 나랑드사이다 등 제품 가격을 100~200원씩 인상했다.

제과업체인 오리온, 해태제과 등은 지난달 1일부터 일제히 제품 가격을 올렸다.

오리온은 1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고, 해태제과는 10개 제품에 대해 평균 8.6%의 가격 인상을 적용했다. 롯데웰푸드는 17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2% 인상했다.

식품 업체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이라는 이중고에 빠져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동안 정부 눈치를 보느라 가격 인상을 망설이던 기업들이 어수선한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서 ‘지금이 가격 인상의 호기다'라면서 너도나도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대통령은 물론 비상계엄 후유증으로 총리 외에도 여러 국무위원이 직무정지로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이어서 정부가 ‘물가 콘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물가상승 기류가 계속돼 국민의 삶이 더욱 팍팍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