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 12개월 만기 예금금리 연 2.90%로, 3%대 유지하던 흐름 무너져
예금금리 낮아지면서 투자자들 주식, MMF 등으로 자금 이동 현상 두드러져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본격적인 금리 인하 국면이 시작되면서 저축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예금금리마저 3% 밑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6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88%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3.02%)보다 0.14%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도 같은 기간 3.15%로 0.15%포인트 낮아졌다.
일부 저축은행의 금리는 3%를 밑돌고 있다. KB·신한·하나의 12개월 만기 예금금리는 연 2.90%로, 연 3%대를 유지하던 흐름이 무너진 셈이다.
저축은행업계는 2022년 말 연 6%대의 고금리 상품을 선보이며 ‘예테크족’의 관심을 끌었으나 현재 금리는 시중은행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2.70~3.31% 수준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영향도 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의 영향으로 대출 규모를 급격히 늘릴 수 없는 상황이라 공격적인 자금 확보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예금금리 하락으로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도 감소하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말 120조원을 돌파했던 저축은행 수신액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103조3649억원으로 줄어든 상태다.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2%대 예금금리가 등장했다.
케이뱅크는 이달 1일부터 대표 예금상품인 코드K 정기예금(12개월 만기) 금리를 연 3.00%에서 2.90%로 내렸다. 카카오뱅크는 12개월 만기 예금금리를 연 3.10%로 유지하고 있으며 토스뱅크는 6개월 만기 예금에 연 3.00%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예금금리 하락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금리에 민감한 ‘예테크족’의 자금 이동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은행권 정기예금은 21조원 감소하며 전달(8조원 증가) 대비 감소 전환했다.
반면 주식 투자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6일 기준 54조6734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9.6% 증가했다.
머니마켓펀드(MMF) 규모도 지난해 말 대비 45조원 늘어난 212조413억원을 기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금금리가 계속 낮아지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이나 MMF 등으로 자금을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머니 무브’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