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고려아연 최윤범, 한화 주식 헐값처분…1000억원대 손해 배상해야"
  • 서영길 기자
  • 승인 2025.05.12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아연 최대주주 측, 최윤범 회장·박기덕 대표 상대 주주대표소송 제기
장형진 영풍 고문과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사진=각 사]
장형진 영풍 고문(왼쪽)과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사진=각 사]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고려아연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투자목적회사 한국기업투자홀딩스(한국투자홀딩스)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과 박기덕 대표이사를 상대로 주주대표소송(손해배상)을 제기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투자홀딩스 측은 최 회장과 박 대표가 지난해 11월 이사회 결의도 없이 고려아연이 보유 중이던 한화 주식 543만6380주(발행주식 총수의 7.25%)를 저가로 처분함으로써 고려아연에 손해를 입힌 데 따른 주주권리 행사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투자홀딩스는 한 달여 전 고려아연 감사위원회에 대해 한화 주식 저가 처분의 경위를 면밀히 조사하고 최 회장 등 손해 발생에 책임있는 자들에게 배상 청구를 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같은 정당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 달이 넘게 지나도록 고려아연 측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자 대주주가 직접 행동에 나서게 된 것이라고 한국투자홀딩스 측은 강조했다.

이에 한국투자홀딩스는 1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하면서 “마땅히 프리미엄을 받아야 할 한화 주식을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가 독단적으로 헐값에 처분해 고려아연은 물론 주주들에게 큰 재산적 손해를 끼쳤다”며 “최 회장은 이같은 손해를 잘 알면서도 당시 경영권 박탈 위기에 몰리자 고려아연 주요주주인 한화 계열사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모든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투자홀딩스는 “고려아연의 대주주로서 회사의 피해 회복을 위해 주주대표소송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국투자홀딩스 측은 “손해배상액을 최소 규모로 196억원을 일단 청구하지만 처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할 경우를 가정한 기대가치의 훼손을 반영하면 배상 규모는 1000억원을 훌쩍 상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화의 현재 주가는 처분 당시에 비해 80% 이상 높은 수준이다.

고려아연은 지난 2022년 11월 23일 한화와의 사업제휴를 명목으로 양사의 이사회 결의를 거쳐 상호주 보유 명분으로 한화 자기주식 543만6380주를 주당 2만8850원에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취득했다.

한국투자홀딩스에 따르면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가 경영권 분쟁이 한창이던 지난해 11월 6일 처분제한 기간(3년)이 1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화그룹의 3세들이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한화에너지에 2022년 당시 매수 가격보다 3% 낮은 주당 2만7950원에 한화 주식을 매도했다. 이에 취득원가 대비 약 50억원의 손해를 봤다는 게 한국투자홀딩스 측 주장이다.

이 때문에 당시 주식 처분이 고려아연의 주요주주인 한화그룹으로부터 최윤범 회장에 대한 지원을 확고히 받고자 한 것이라는 게 한국투자홀딩스 측이 제기하는 의혹이다.

아울러 한화에너지는 해당 주식 거래가 있기 4개월 전 한화그룹 오너 일가의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프리미엄을 붙여가며 주당 3만원에 한화 주식 600만주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했으나, 해당 공개매수에 고려아연은 참여하지 않았다.

한화에너지의 한화 공개매수에 고려아연이 응했다면 약 110억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한국투자홀딩스 측은 고려아연의 기회 손실은 이보다 몇 배 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화에너지로서는 그룹 승계를 위해 중요한 주식을 예상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확보한 것이지만 고려아연 입장에선 비싸게 받을 수 있는 자산을 오히려 손해보고 처분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의 한화 주식 헐값 매각으로 인해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은 기존 14.9%에서 22.16%로 올라가게 됐고, 한화에너지를 포함한 그룹 대주주(특수관계인 포함)의 한화 지분율은 55.83%로 과반을 넘어서게 돼 한화그룹의 지배력은 더욱 공고해졌다.

한화 주식 매각 당시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됨에 따라 한화그룹 방위산업 계열사들의 대주주인 한화의 주가도 향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코스피 지수가 장기간 2500선 전후에서 지리한 박스권 횡보를 이어가는 와중에도 한화 주가는 꾸준히 상승해 지난 9일 종가는 주당 5만2000원으로 고려아연의 처분 당시 주가 대비 86%나 높았다.

한국투자홀딩스 관계자는 “한화가 상호주로 취득한 고려아연 지분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고려아연이 한화 주식을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고려아연은 9일 현재 1307억원의 평가 이익을 볼 수 있었다”며 “하지만 최윤범 회장이 처분 제한 기간 중임에도 이를 급히 매각함으로써 회사에 피해를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가 처분한 주당 2만7950원에 한화에너지가 한화 공개매수 때 적용했던 할증률 12.92%를 적용한 차액 만큼은 손해배상으로 우선 청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