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엘앤에프는 10일 오후 이사회를 개최해 LFP 사업을 위한 신규법인 설립 및 신설 법인에 대한 지분 취득을 했다고 밝혔다.
LFP 신설 법인 엘앤에프엘에프피(가칭)는 총 3365억원을 투자해 최대 6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 엘앤에프는 신설 법인에 2000억원의 지분투자를 하며 100% 자회사로 설립될 예정이다.
회사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전기차 수요 둔화로 국내 이차전지 업계가 실적 악화 등 어려운 시기에 있음에도 과감하게 LFP 신규 사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가 주력으로 준비했던 고부가가치 제품인 하이니켈 제품뿐 아니라 중저가 제품인 LFP 제품을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고객사들이 선택권을 확대시키려는 전략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이런 전략은 전 세계의 배터리 헤게모니 선점을 위한 탈중국 소재 사용 흐름과 맞닿으면서 큰 힘을 얻고 있다고 엘앤에프는 분석했다.
엘앤에프에 따르면 LFP의 기술적 난이도는 하이니켈 제품에 비해 낮아 중국 기업들이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ESS(에너지저장장치)의 경우 LFP 제품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어 배터리 셀 업체들의 탈중국 소재 사용에 대한 고심이 깊어진 바 있다.
엘앤에프 측은 “최근 수년간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LFP 제품을 준비해 왔으며, 탈중국 소재를 찾는 고객사들의 공급 가능성 문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승헌 엘앤에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캐즘(일시적 수요정체) 시기를 돌파하기 위해 다방면의 고민을 하고 있다”며 “중국이 선점하고 있는 시장에 대한 큰 도전이지만 당사의 제품 경쟁력과 양산 능력을 바탕으로 LFP 경쟁력이 충분히 입증돼 투자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