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중견기업 3곳 중 1곳(37.2%)은 하반기 투자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 5월 26일부터 6월 10일까지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25.0%) 대비 12.2%p 증가한 수치다.
투자계획을 밝힌 중견기업들의 주요 투자 유형은 △국내 설비 투자(69.5%) △국내 R&D 투자(40.3%) △해외 투자(17.4%) 등 순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기존 설비 개·보수(36.2%) △R&D(20.5%) △공장 신·증설(18.8%) △친환경·ESG(6.7%) △인수 합병(6.0%) △디지털 전환(5.1%) 등 부문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하반기 투자 계획이 없다고 밝힌 62.8%의 중견기업들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38.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투자 불필요 업종(25.5%) △경영 실적 악화(19.3%) △기 투자 완료(12.4%) △신규 투자처 미확보(3.6%) 등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의 79.9%는 상반기 대비 투자 규모가 확대(39.3%) 또는 유지(40.6%)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 규모 축소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0.1%에 불과했다.
상반기 대비 투자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신사업 진출 강화(29.0%) △주력사업 확장(24.8%) △노후 설비 개선·교체(22.2%) △해외시장 진출 확대(13.7%) △경기 회복 기대감(7.7%) 등을 이유로 꼽았다.
투자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내수 시장 부진(35.0%) △경기 악화 우려(31.7%) △생산 비용 증가(11.7%) △고금리·자금 조달 애로(10.0%)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자금 조달 방법은 △내부자금 활용(49.6%)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금융권 차입(39.6%) △주식·회사채 발행(5.8%) △정책 금융 활용(5.0%)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인들은 투자 활성화를 위해 △R&D·설비 투자 세제 지원 확대 등 세제 개선(37.1%)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2. 0%) △금리 인하(17.9%)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10.0%) △정책 금융 확대(9.0%) △입지 등 투자 규제 완화(3.8%)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경제 회복의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내수 회복 기대, 주식시장 활성화, 정국 안정 등으로 일부 확대되고 있는 중견기업의 투자 전망을 가시화할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면서 “과감한 규제 해소, 세제 지원 및 정책 금융 강화 등 중견기업의 투자 확대를 견인할 실효적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