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통화긴축·신흥국 불안은 제약 요인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국제무역연구원은 최근 ‘2018 수출입 평가 및 2019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발표 자료에 따르면 내년 대한민국 수출은 3.0% 증가한 6,250억 달러, 수입은 3.7% 증가한 5,570억 달러로 3년 연속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액이 데이터센터 서버제품 수요 증가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무인차 등 신시장 성장에 힘입어 단일품목 최초로 1,300억 달러 돌파가 예상된다. 그러나 반도체 단가 하락으로 수출증가율은 금년 30%대에서 5%로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선박의 경우 지난 2년간 증가한 수주 물량 인도와 전년 부진의 기저효과로 10% 증가가 예상된다. 석유화학은 국내 신규 설비 가동에 따른 수출물량 확대로 5.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기계는 중국·미국·인도 등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로 컴퓨터는 기업용 클라우드 서버 및 개인용 PC에 사용되는 SSD 수요 확대로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
자동차는 신차 출시, 친환경차·SUV 수요 증가 등 긍정적 요인이 있다. 그러나 세단 수요 감소 및 미국 금리인상 등에 따른 신흥국 불안으로 수출이 전년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호조에도 불구,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액정표시장치(LCD)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수출이 2.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통신기기·가전은 해외생산 확대와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철강은 미국 수입규제 등으로 감소세가 확대될 전망이다.
2018년 우리 무역은 2년 연속 1조 달러를 기록했고 수출은 사상 최초로 6,000억 달러를 각각 넘어서면서 세계 수출 순위 6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 등은 수출 최대실적 달성이 기대된다. 소재·부품 무역흑자는 1,000억 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선제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를 자랑하는 메모리는 한국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국내업체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강화 및 해외시장 다변화 노력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내년 우리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나 세계 보호무역 기조 지속, 브렉시트, 선진국의 통화긴축, 미국의 자동차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 등 불안요인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환율 및 금리 변동성 확대 등 단기 리스크에 적극 대응하고 소재·부품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한 통상 리스크 대응, 소비재·신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등 국내기업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