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는 우리나라 연안 최대 100km까지 LTE급 통신망을 구축해 해양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권역센터가 대도시 위주로 구축되고 있어 전 해역 곳곳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대응하기 미흡해 보인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승남 국회의원은 10월 8일 열린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해수부 e내비게이션 사업의 중앙운영센터와 권역센터가 대도시에 집중돼 있는 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촉구했다.
![해수부는 연안 최대 100Km 해상까지 LTE급 속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기지국과 운영시스템 662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자료=해수부]](/news/photo/202010/39846_36777_12.png)
해수부 e내비게이션 사업은 연안 최대 100Km 해상까지 LTE급 속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기지국과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서, 예산 1,308억원을 투입해 2016부터 올해까지 연안기지국 662개소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e내비게이션 사업은 위치정보와 인근선박 운항정보 등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V-pass나 GPS-플로터에 비해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것이 해수부의 설명이다.
그런데 e내비게이션 중앙운영센터 및 권역센터 현황을 보면 세종에만 2개(중앙운영센터, 제1운영센터)가 구축된다. 서해권에는 인천과 대산, 동해에는 동해, 포항에 각각 1개씩이며 부산과 목포 권역센터까지 총 9개의 센터가 올해 말까지 설치 완료된다.
문제는 중앙운영센터와 권역센터가 수도권과 대도시 위주로 편중돼 있다는 점이다. e내비게이션 사업의 첫 번째 목표가 해상안전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김승남 의원은 “세종에만 두 곳의 센터를 두는 등 대도시 위주의 권역센터 설치가 해양안전사고의 신속한 대응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올해 11~12월 시범운영 때 위 사항을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