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연간 기업수익성 1.8%p↓ 물가1.6%p↑”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1.11.01 12: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올해 1~9월 기준)으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연간 1.8%p 감소하고, 소비자물가도 연간 1.6%p의 상승압력을 받는 등 기업채산성과 거시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크므로 환율안정, 국제원자재 수급 안정 지원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제원자재가 급등이 기업채산성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11월 1일 이같이 밝혔다.

올해 1~9월 중의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32.3%에 달한다. [사진=utoimage]
올해 1~9월 중의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32.3%에 달한다. [사진=utoimage]

현재 국제원자재 가격이 국제원유를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원유가격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4월에 저점을 찍은 후 상승폭이 유종별로 3.6배(두바이유)에서 최대 5.0배(WTI)에 달한다. WTI는 지난해 4월 배럴당 15.06달러에서 올해 9월에는 배럴당 75.03달러로, 두바이유는 20.82달러에서 75.90달러로, 브렌트유는 20.66달러에서 78.77달러로 치솟았다.

금을 제외한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가격과 옥수수 등 주요곡물 선물가격도 가파른 상승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세는 백신효과와 그간 경기침체에 따른 기저효과로 글로벌 경기가 큰 폭의 반등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원유가격 추이, 단위 : 배럴당 미달러 [출처=한국은행,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유가격 추이, 단위 : 배럴당 미달러 [출처=한국은행,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자재가격 변화율 고·저점 차 금융위기 및 외환위기 때 보다 커

한경연은 달러기준 원재료 수입물가지수 분기자료에 기초해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국제원자재가격 증감률 추이를 글로벌 금융위기 및 외환위기 기간과 비교 분석했다.

우선 정점에서의 국제원자재 가격상승률이 올해 3분기 60.8%로 과거 외환위기(2000년 1분기 57.8%)와 금융위기(2010년 1분기 39.8%)기보다 높았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의 증감률 고저점간 격차도 코로나19 시기에서 가장 커 기업의 대응이 많이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증감률 저점은 지난해 2분기 –34.5%, 현재까지의 고점은 올해 3분기 60.8%로 고·저점 차이가 95.3%p에 달했다. 반면 금융위기 기간(2008년 4분기~2010년 2분기)의 경우 2009년 2분기 –43.0%이 저점, 2010년 1분기 39.8%가 고점으로 고·저점 차이가 82.8%p였다. 외환위기 기간(1997년 4분기~2000년 1분기)에는 1998년 1분기 –24.3%가 저점, 2000년 1분기 57.8%가 고점으로 고·저점차이가 82.1%p였다.

주요 경제위기별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비교, 단위 : 달러, 전년동기대비, % [출처=한국은행,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주요 경제위기별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비교, 단위 : 달러, 전년동기대비, % [출처=한국은행,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상승률 50% 가격반영 시 기업 영업이익률 1.8%p↓⇨ 물가 1.6%p↑

올해 1~9월 중의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32.3%에 달한다. 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제품판매 가격에 반영하고 나머지 절반은 자체 흡수한다는 가정아래 국제원자재가 상승이 기업채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비금융업 전체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코로나19 이전인 5년(2015년~2019년)간 평균 5.2%였는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3.4%로 이전보다 연간 1.8%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대기업이 △2.0%p, 중소기업이 △1.5%p로 대기업이 더 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대기업이 더 많이 받는 것은 매출액대비 재료비 비중이 대기업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분 50% 기업부담 시 기업규모별 채산성 변화, 단위 : 매출액영업이익률,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분 50% 기업부담 시 기업규모별 채산성 변화, 단위 : 매출액영업이익률,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분의 절반을 기업들이 제품가격에 전가하는 경우 소비자물가는 1.6%p의 상승압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 1.0%p는 대기업, 0.6%p는 중소기업이 수입원재료 가격상승을 원가에 반영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원자재 상승분 50% 가격전가 시 소비자물가 영향, 단위 %p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자재 상승분 50% 가격전가 시 소비자물가 영향, 단위 %p [자료=한국경제연구원]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국내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기업들의 제품가격을 규제할 경우 기업채산성 악화로 인한 영업잉여의 감소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가격규제 등 인위적 물가억제책 대신 가격급등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주 적용 등 국제원자재의 안정적 수급 지원을 통해 경제악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