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2023년 ESG 경영 규모는 작년보다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ESG 실무자를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93.0%가 올해 ESG 경영 규모를 작년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전경련은 올해 ESG 사업 규모 확장의 배경을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 확산과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ESG 경영 환경의 정착으로 분석했다.
![2023년 ESG 사업 규모(왼쪽), EㆍSㆍG 중 올해 중요 이슈 [자료=전경련]](/news/photo/202302/48878_52181_2017.png)
실무 주요 이슈 환경(82.0%)이 가장 높아
ESG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E(환경)이 82.0%로 가장 높았다. S(사회)와 G(지배구조)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배출량 감축이 47.0%로 가장 높았으며 △신재생 에너지 전환 17.1% △친환경 기술개발 17.1%, △대기‧수질 오염관리 9.7% △순환경제 활성화 9.1%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NDC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전략과 구체적 감축목표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약 절반(48.0%)은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수립했고, 58.0%는 구체적인 탄소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산업재해(안전ㆍ보건 관리)가 31.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를 주요 사회 이슈로 꼽았으며, △인권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등이 뒤를 이었다.
거버넌스 주요 이슈로는 △준법‧윤리경영 시스템 강화 38.5% △ESG 정보공시‧평가 대응 28.0% △ESG위원회 운영 실효성 확보 16.8%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확보 16.1% 순이었다.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거나 시행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에 대해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가 50.0% △탄소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 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 9.2% 순이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올해부터 독일에서 공급망 인권 실사(Due Diligence)가 의무 적용되고 글로벌 주요국이 공급망 ESG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급망ㆍ협력사 ESG 관리 여부(왼쪽),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 [자료=전경련]](/news/photo/202302/48878_52182_2048.png)
글로벌 ESG 규제 다변화 대비한 국내 대응 역량 강화 필요
기업은 ESG 경영 수행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고도화(35.4%)를 꼽았다. △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이 뒤를 이었고, 그 외 △ESG 평가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순이었다.
정부‧국회 등에서 추진해야 할 ESG 지원정책으로는 △글로벌 ESG 규제 대응 역량 강화가 30.3%였으며 △ESG 전문인력 육성(27.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3%)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8%)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 ESG 평가대응에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평가업체마다 다른 평가결과로 인한 예측가능성 저하가 ESG 평가 대응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고(56.0%) △평가요소 비공개로 인한 평가 대비 어려움(21.0%) △ESG 컨설팅 비용 부담(17.0%)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이를 평가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구체적인 평가요소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평가요소 공개를 통해 기업의 ESG 평가 대응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ESG 정보공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국내 공시제도 간소화‧단일화가 38.0%로 가장 높았고 그 외 △공시 전문인력 육성 지원(32.0%) △공시 대비 유예기간 부여(20.0%)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