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조정되는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 극심한 수출 부진이 내수까지 위축 시켜
  • 최종윤 기자
  • 승인 2023.06.10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2023년 경제성장률 1.3%로 0.2%p 하향 전망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이어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도 2023년 경제성장률을 하향조정했다.

극심한 수출 부진속에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이 하향조정되고 있다. [사진=gettyimage]

한경연은 지난 9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2/4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전망치인 1.5% 보다 0.2%p 낮은 1.3%로 전망했다. 경제위기를 제외한 기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지난 5월 11일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1.8%에서 1.5%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지난 7일 1.5%로 예측했다.

조사 발표 기관들이 연이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하향조정하고 있는 가운데, 극심한 수출 부진이 공통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경연은 고금리에 따라 소비 및 투자의 위축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비함에 따라 수출부진이 극도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 성장률 하향전망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민간소비, 설비·건설투자 트리플 약세로 내수회복 기대 난망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3%보다 2.2%p 낮은 수치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상반기를 경과하며 물가급등 및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심리가 약화되며 위축흐름이 확대돼 왔다.

자영업 부진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소득기반이 약화된 데다 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마저 급등하면서 소비여력이 크게 줄어든 것이 민간소비 부진의 주요 요인이다.

물가상승률, 원자재가격 하락에 따라 점차 안정을 되찾을 전망

설비투자는 주요국의 경기회복세가 약화에 따른 대외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3.6% 역(逆)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조달 비용의 상승 역시 설비투자에 대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사차질과 부동산PF발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0.5% 역(逆)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 및 수급불균형 현상 개선에 힘입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5.1%)보다 1.7%p 낮아진 3.4%로 전망됐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전기·수도·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등 주요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의 빠른 안정화에 따른 결과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 미출현시 성장률은 더 낮아질 수도

그동안 한국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왔던 수출은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지연됨에 따라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전망치인 1.2% 보다 1.1%p 낮은 수치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의 최대 상방요인이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수출부진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내수부문마저 위축되고 있다”며, “하반기 이후에도 리오프닝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지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한편, 한경연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경기불황에 따라 소득기반이 크게 약화된 가운데, 고금리로 민간부채에 대한 연체율이 급등하기 시작했다”며, “정부의 정책여력이 이미 소진된 가운데, 부채리스크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칫 경기불황이 경제위기로 발화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