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올해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74.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9% 감소했다. 세계적 고금리 기조, 중국 경기침체 등 마이너스 요인에도 일부 주력 품목 수출 호조세로 비교적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2023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지난 12일 발표했다.

올해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12.7% 감소한 대기업 및 6.2% 줄어든 중견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작다. 중소기업 수출이 국내기업 총수출 감소세 완화에 기여했다고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또 수출 참여 중소기업도 8만5,916개사로 지난해 8만3,792개사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신규 수출기업은 7.9% 증가, 수출 중단기업은 3.5% 감소하는 등 중소기업 수출지표가 개선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월별 중소기업 수출은 지난 7월 5.4% 감소했으나, 이후 8월부터 플러스 전환해 9월까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기부는 지난해 6월부터 이어진 중소기업 수출 감소세가 올해 하반기 들어 개선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올해 3분기에는 우리 중소기업 10대 주요 수출품목 중 △플라스틱 제품 △합성수지 △반도체제조용장비 △반도체 △기계요소 등 5개 품목에 대한 수출은 감소했으나, △화장품 △자동차 △기타기계류 △전자응용기기는 역대 3분기 수출 1위를 기록했다. 그중 화장품은 ‘케이(K)뷰티’에 대한 인기로 중국을 제외한 미국‧일본 등 주요국과 유럽연합(EU)‧중동‧독립국가연합(CIS) 등 신흥시장에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올해 3분기 주요 수출품목 중 수출액 1위를 달성했다.
아울러 북미 중심 제조업 부문 대규모 투자에 따라 우리나라 10대 주요 수출국 중 미국‧멕시코 자동차부품 및 기타기계류에 대한 수출이 강세를 보였지만, 중국에 대한 우리 중소기업 중간재 수출은 감소했다. 중국 산업고도화 정책기조에 따른 중간재 자급 확대가 원인이다. 또 러시아는 전쟁으로 인한 경기부진과 우리 정부 수출통제 강화에 따라 수출이 큰폭으로 감소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중기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어려운 대외환경에도 불구하고 대‧중견기업 대비 적은 수출 감소폭, 신규 수출기업 증가 등 중소기업 수출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며, “올해 8월부터 플러스로 전환된 중소기업 수출을 4분기에도 플러스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중소기업 주도 수출주도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