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이즈, 모바일 AI 에이전트 ‘FluidGPT’ 개발… 휴대폰용 ‘자비스’ 나온다
  • 정한교 기자
  • 승인 2025.01.08 1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서 논문 발표
- 기존 음성 서비스 한계 극복…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혁명을 이끌 것”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스타트업 ‘플루이즈’는 KAIST와 공동으로 모바일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해 지난해 11월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인 ACM MobiCom에 논문을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앱 자율 실행을 위한 AI 에이전트(FluidGPT) 사용 사례 [사진=플루이즈]

플루이즈는 최근 AI 업계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번 ACM MobiCom에서는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 명령을 이해하고 스마트폰 앱을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AI 에이전트(FluidGPT)의 혁신적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ACM MobiCom은 모바일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 중 하나이다. 채택된 논문은 엄격한 심사를 거친 혁신적 연구 성과를 의미한다. 학문과 산업간 융합 연구를 강조하는 이 대회는 기술 발전의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인정받고 있다.

KAIST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팀과 공동 진행한 이번 연구는 영화 ‘아이언맨’의 인공지능 비서 ‘자비스’와 유사한 AI 에이전트 기술이다. 사용자의 자연어 명령을 이해하고, 앱 내부 경로를 스스로 찾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음성 비서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했다.

앱 자율 실행 AI 에이전트(FluidGPT)가 배달의민족 앱에서 사용자 지시를 자동 수행하는 과정 [사진=플루이즈]

특히, 초거대 언어모델(LLM)과 인간처럼 학습 가능한 ‘Human-like Memory’ 기술을 통해 앱 실행 속도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한 명령만으로 복잡한 앱 실행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FluidGPT 에이전트 기술은 폭넓은 경제적, 사회적 파급 효과를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 사용자에게는 음식 주문, 택시 호출, 가격 비교 등 번거로운 작업을 손쉽게 음성 명령만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편리함을 제공하며, 새로운 차원의 모바일 커머스 환경 창출에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모바일 앱 사용에 따른 인지적 부담을 덜어주며, 디지털 소외 계층 및 고령층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고령층이 택시 호출이나 교통 예약을 손쉽게 처리하거나, 음식 배달 및 상품 구매를 음성 명령만으로 간단히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플루이즈 신인식 대표(KAIST 전산학부 교수)는 “이 기술은 컴퓨터 마우스의 발명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혁명을 이끌 것”이라며, “다양한 모바일 앱에서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