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서민들이 급전이 필요할 때 주로 이용하는 카드사와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며 금융권에 비상이 걸렸다.
경제 상황 악화와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대출 수요는 늘고 있으나 상환 능력 부족으로 인해 연체율이 최고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카드사 연체율 전반적 상승세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우리카드의 연체율은 1.78%로 전년 동기 대비 0.56%포인트 상승했다. 하나카드는 1.66%에서 1.82%로 0.16%포인트, KB국민카드는 1.22%에서 1.29%로 0.07%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업계 1위 신한카드는 같은 기간 1.35%에서 1.33%로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카드사의 연체율은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에서 1개월 이상 연체된 비율을 말한다. 이는 서민들의 상환 부담 증가를 그대로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저축은행 연체율, 2011년 사태 이후 최고치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올 3분기 연체율은 8% 중반까지 상승해 지난해 말(6.55%)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 6월 말에는 8.36%를 기록하며,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당시에는 16개 저축은행이 영업 정지와 파산을 겪은 바 있다.
대출 수요 증가, 상환 능력 악화
카드사와 저축은행 같은 2금융권의 대출 규모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지난달 9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42조2221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카드·캐피탈사의 가계대출 누적 규모도 2조9000억 원에 이르렀다. 경기 침체와 시중은행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체율 급등이 서민층의 재정 상태가 악화되고 있음을 경고한다고 분석한다.
특히 대출 수요는 늘고 있으나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