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 Sheet]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선택 아닌 필수”
  • 최종윤 기자
  • 승인 2025.01.03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입 필요 공정, ‘품질관리’가 1위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산업자동화 분야에서 최근 몇 년새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AI) 이다. 분야별 솔루션은 세분화·고도화됐고 각 공정별로 효율을 높여주는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는 가운데, AI는 핵심이 됐다.

산업자동화 분야에서 최근 몇 년새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AI) 이다. [사진=gettyimage]

2024년 하반기 부터는 기술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온디바이스AI 제품 출시도 속속 이어졌다. 본격적으로 ‘제조 AI(Manufacturing AI)’라는 용어가 등장했으며, 이를 표방한 많은 솔루션이 등장해 현장 운영 개선이나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지원했다.

현재 비전검사와 품질관리, 프로세스 제어 및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고 있다. 이에 관련 솔루션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모두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마켓앤마켓은 전 세계 제조 분야에서 AI 시장 규모는 2023년 32억 달러에서 2028년 208억 달러로 증가하는 등 연간 45.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마켓앤마켓은 성장요인으로 늘어나는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필요성, 관련 장치 발전, IoT 및 자동화 기술의 적용 등을 꼽았다.

이에 본지는 ‘키워드로 보는 2025년 스마트제조 시장전망’에서 ‘AI’를 ‘DX’와 ‘로봇’과 함께 주요 키워드로 선정하고, 지난해 12월 11일부터 18일까지 시장조사를 실시했다.

제조업 자동화 분야에서 현재 AI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부분은 ‘생산 공정 최적화’ 부분으로 나타났다. [자료=인더스트리뉴스]

기업, AI 기반 자동화 ‘적극 검토중’

조사 결과 제조업 자동화 분야에서 현재 AI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부분은 ‘생산 공정 최적화’ 부분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8.7%가 꼽았으며, 다음으로는 ‘품질 검사’(22.7%), ‘고객 서비스 및 사후관리’(18.7%), ‘제품설계’(13.3%), ‘물류 및 공급망 관리’(6.7%)가 뒤를 이었다.

거의 전 영역에 AI 기술이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아직까지는 직접적인 자동화 기계 기술 등 OT단 보다는 IT단에서 빠르게 AI 기술 적용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이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기류도 감지됐다. 현재 AI 기술을 어느 정도 도입하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이미 도입 및 활용중이 응답자의 10.5%, 일부 도입이 13.2%로 나타난 가운데, 도입을 계획중이라는 답이 64.5%로 나타났다. 기업에서 현재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다.

2025년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투자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35.5%가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27.6%가 유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축소할 계획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없었으며, 다만 36.8%가 미정을 꼽았다.

가장 관심있는 AI 기술로는 ‘머신러닝 기반 예측모델’이 41.1%, 컴퓨터 비전(시각인식)과 강화학습 기반 자동화가 각각 26%로 나타났다. [자료=인더스트리뉴스]

업계, “초기 비용 부담, 정부 정책적 지원 필요”

최근 몇년 새 AI 기술 접목 분야가 초기 비전 분야에서 각 분야별로 늘어난 가운데, 어떤 제조 공정에서 AI 도입이 가장 필요하냐고도 물어봤다. 응답자의 31.6%가 ‘품질관리’를 선택한 가운데, ‘생산 스케쥴링 및 최적화’를 30.3%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뒤이어 ‘예측 유지보수’가 18.4%, ‘생산 라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17.1%로 집계됐다.

또 가장 관심있는 기술로는 ‘머신러닝 기반 예측모델’이 41.1%, 컴퓨터 비전(시각인식)과 강화학습 기반 자동화가 각각 26%로 나타났다.

솔루션 도입 시 가장 큰 장애요소로는 ‘초기 투자 비용’(44.7%)을 꼽았다. 다음으로 ‘기술 전문 인력 부족’(28.9%)을 선택했는데. 인력도 비용으로 볼 수 있어 사실상 비싼 가격이 여전히 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데이터 뭄질 및 보완 문제’(14.5%), ‘AI 기술에 대한 이해 부족’(11.8%)이 꼽혔다.

마지막으로 AI 도입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물어봤다. 1위는 ‘정부 보조금 및 정책 지원’이 69.7%라는 절대 다수의 선택을 받았다. 뒤이어 ‘AI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선택한 응답자가 11.8%, ‘AI 적용 사례 공유’가 10.5%, ‘AI 도입 컨설팅 및 파트너십’이 7.9%의 선택을 받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