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전기요금 받는 건 잘못된 발상"… 전기요금 개편 주장도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은 18일 제조 인공지능(AI)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가장 큰 위협은 중국이라며 일본과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18일 경북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AI 토크쇼’에서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 제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건강한 AI를 만들기 위해선 좋은 영양이 있는 밥(데이터)을 먹어야 하며 대한민국은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한 곳”이라면서 “문제는 중국은 데이터가 우리보다 많아, 그들의 학습 능력이 빨라지고 크다면 우리 제조업은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도 상당히 많은 제조 AI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AI 산업 발전을 위한 인재 육성과 관련해 해외 고급 인력 유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회장은 “인재 육성에는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질)도 의심이 생길 수 있다”며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고 언급했다.
최 회장은 이를 위해 외국인이 정착할 수 있도록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거점 지역이나 도시를 조성하자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또 다른 핵심 과제로는 전기요금 체계의 개편을 꼽았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인데, 대한민국의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며 “대한상의도 수도 없이 건의했지만, 전기료를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아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전기요금이)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며 “이 같은 형태를 전력 안에 들여오지 않으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단초가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기업들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혁신 사업자에 규제를 일정 기간 유예하는 규제 샌드박스를 메가(광역) 단위로 넓힌 개념인 ‘메가 샌드박스’ 필요성도 거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