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서 일어날 일자리 문제, 대안은 무엇?
  • 방제일 기자
  • 승인 2018.10.09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의 급속한 진전은 직무 및 일자리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해외 주요국을 비롯해 한국 정부는 신기술 적응 및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인재양성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구조적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인력 양성 함께 도모해야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굳이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하지 않아도 현재 일자리 관련 사항은 시대적 화두 중 하나다. 이 점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보다 일자리 양극화가 심해질 뿐 아니라 절대적 일자리 수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발전에 따른 자동화로 인해 오는 2030년에는 4~8억명 가량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구조적 변화에 대한 이해와 정책적 대응 수반시 5억5,500만~9억9,0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이 가능하다는 전망 또한 이어진다. 

[사진=dreamstime]
창출되는 일자리의 경우 SW 엔지니어, 웹개발 등 IT 관련 일자리 및 헬스케어, 소비재·건강·교육 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자리가 대부분이다. [사진=dreamstime]

그러나 새롭게 창출되는 일자리의 경우 SW 엔지니어, 웹개발 등 IT 관련 일자리 및 헬스케어, 소비재·건강·교육 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자리가 대부분이다. 이에 각 국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또 다른 정책적 대안으로 향후 일어날 일자리 대란에 대응 정책 마련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각 국은 인공지능 및 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및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특화된 투자계획 및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상 방안에 집중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 영국, 프랑스 또한 인공지능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한국 정부 또한 대통령 산하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책을 통해 과학 및 기술, 과학 및 수학 교육을 통해 인공지능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서도 다양한 정책 마련에 있다. 

[사진=dreamstime]
한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서도 다양한 정책 마련에 있다. [사진=dreamstime]

구체적으로 정부는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 두 가지를 동시에 추진 중에 있다.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은 쌍방의 미스매칭을 해소하기 위해 함께 추진 중에 있으며 일자리 창출 정책은 예산, 프로그램 등 과기정통부의 정책적 수단을 동원해서 창출하고자 노력하는 일자리 규모를 의미하며 실험실 일자리, 지역 일자리, 서비스 일자리, 글로벌 일자리 등 가용한 정책(수단)별로 나누어 추진하고 있다.

이런 정부 정책에 대해 4차 산업혁명 인력 양성 관련한 단체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정부에서는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거점대학 중심과 협회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추진 중에 있다”며, “일본, 중국 등 해외 국가들의 모범 사례를 참고해 보다 인력 양성에 힘써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SW 및 다양한 기술에 대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점을 잘 활용한다면 향후 도래할 일자리 문제도 또 다른 전략적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만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사용할 것이 아닌 각 직종에 있는 실무자들 또한 자신의 업무, 나아가 일자리에 대해 디지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