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올해 1분기 강남3구는 대출규제와 보유세 부담,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크게 위축되면서 오름폭이 크게 둔화된 반면 노원, 강북, 성북, 강북 등 서울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컸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하락,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상승과 닮은 모습이다.

부동산114는 2008년 금융위기와 현재 상황이 외부 쇼크에 따른 실물경기 침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2008년 버블세븐지역에 포함된 강남3구 아파트값이 크게 떨어진 반면, 노도강 등 서울 외곽지역은 리먼사태 발생 직전까지 상승한 것이다.
2007년 말 대비 리먼사태가 발생하기 직전인 2008년 8월까지 서울 아파트값은 △노원(22.23%), △도봉(21.80%), △중랑(18.87%), △금천(12.48%), △강북(12.42%) 등이 크게 올랐지만 ▼송파(-4.26%), ▼강동(-4.09%), ▼강남(-2.16%), ▼서초(-16.1%)는 하락했다
부동산114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값은 2008년 리먼사태 직전의 가격 흐름과 많이 닮은 모습으로 분석했다. △노원(4.59%), △강북(4.25%), △성북(3.80%), △동대문(3.44%) 등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지역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고 도봉도 2.77% 올라 서울 평균 상승률(1.61%)보다 높았다. 반면 고가 아파트가 많은 △용산(0.25%), △송파(0.25%), △종로(0.38%), △서초(0.42%), △강남(0.65%) 등은 대출 규제로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책과 보유세 부담 등으로 강남3구 집값이 하락한 반면 서울 외곽 지역과 경기 남부권은 중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경기침체 장기화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어 매수 심리 위축이 강남권은 물론 서울·경기 외곽지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여기에 보유세 부담으로 6월 이전 양도소득세 혜택을 받기 위한 다주택자들의 급매물이 늘고 이와 함께 거래되지 않고 적체될 경우 1분기 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노도강을 비롯해 서울 외곽지역의 상승세가 주춤해질 수 있다”며, “또한 매수세 위축으로 상대적으로 집값이 크게 오른 지역은 가격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