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올해 들어 중국의 코로나 확산에 따른 주요 도시 봉쇄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매출액, 수출액이 줄고 생산비용,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매출액 1,0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투자, 거래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에 따른 국내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 도시 봉쇄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왼쪽), 중국의 도시 봉쇄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자료=전경련]](/news/photo/202205/46085_47370_3511.jpg)
기업에 부정적 영향, 원인은 원부자재 조달 차질
응답기업의 73.8%는 중국의 도시 봉쇄가 기업 경영환경에 부정적(매우 부정적 24.3%+다소 부정적 49.5%)이라고 답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원부자재 조달 차질’(50.9%)이었다. 이어 ‘바이어에 대한 납기 일자 지연’(14.9%), ‘일부 공장 봉쇄에 따른 다른 공장 운영 차질’(13.6%), ‘국내외 공장 가동 중단 또는 영업점 휴업’(7.0%), ‘비대면 경영활동에 따른 인력관리 곤란’(6.6%) 등의 순이었다.
중국 투자‧거래기업 10곳 중 4곳은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해 ‘원부자재 선구매 및 충분한 재고 확보’(43.0%)로 대응한다고 밝혔다. 이어 ‘부품 수급문제 해소를 위한 공급망 다변화’(25.4%), ‘특별한 대책 없음’(21.5%), ‘비대면 근무환경 조성 및 활성화’(7.0%) 순으로 응답했다.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한 기업 대응방안 [자료=전경련]](/news/photo/202205/46085_47371_3543.png)
도시 봉쇄로 매출 4.0%↓, 수출 3.7%↓, 생산비용 2.4%↑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전후 1개월을 비교했을 때, 도시 봉쇄로 인해 기업들의 매출액은 평균 4.0%, 수출액은 3.7% 감소하고, 생산비용은 2.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비용이 증가한 기업(69개사)들은 제품가격을 평균 2.8%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시 봉쇄로 인한 기업의 생산일수 차질은 평균 19.2일로 나타났다.
![중국의 도시 봉쇄 1개월 전 대비 1개월 후 비교 [자료=전경련]](/news/photo/202205/46085_47372_3616.png)
응답기업의 30.4%는 도시봉쇄에 대비해 원부자재를 평균 ‘1~2개월 분량’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5.9%는 ‘2주일~1개월’, 14.5%는 ‘2~6개월’, 5.8%는 ‘0~2주일’, 3.0%는 ‘6개월 이상’이라고 답했으며, 10곳 중 3곳의 기업들은 아예 ‘원부자재를 확보하지 않는다’(30.4%)고 응답했다.
![생산비용 증가 기업의 원부자재 확보 정도 [자료=전경련]](/news/photo/202205/46085_47373_3649.png)
87.3%, 중국사업 ‘현상유지’
중국 내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방향 질문에 응답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중국 사업을 유지하겠다’(87.3%)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반면 10곳 중 1곳은 ‘사업장을 축소하겠다’(11.7%)고 답했고 ‘사업장을 한국으로 이전하겠다’는 의견은 1.0%에 그쳤다.
중국의 도시 봉쇄 대응을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내 물류 원활화를 위한 지원 강화’(39.2%)가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한 신속한 정보 확보 및 공유’(35.6%)를 제안했다. ‘중국진출 기업인의 생활안전 확보’(9.4%), ‘주재원과 가족 귀국을 위한 항공편의 제공’(6.8%)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응한 우리정부의 지원정책 [자료=전경련]](/news/photo/202205/46085_47374_378.png)
전경련 김봉만 국제본부장은 “올해 초부터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가 이어지면서 우리 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는 중국당국과 협의해 중국 내 물류 원활화 지원, 중국 도시 봉쇄에 대한 신속한 정보 확보 및 공유 등 기업인들의 어려움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