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터뷰] 충청북도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태양광 클러스터 기반 수요 맞춤형 보급 지속”
  • 최용구 기자
  • 승인 2023.09.11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민수용성 모델 적극 발굴, ‘친환경에너지 페스티벌’로 도민 인식 제고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는 지난 2011년 국내 최초로 128만평 규모의 태양광 산업 특구를 구축했다. 이 곳은 특구 지정 6년 만인 2017년 경제·교육·관광·농업 등을 망라한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이 됐다. 당시 전국 176개 특구 가운데 최우수 특구로 꼽히며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재 청주, 진천, 음성 등 6개 시군에 걸친 총 128만평 부지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태양광 생산라인이 구축돼 있다. 10개 기관이 참여한 태양광 산업 클러스터가 기반을 받친다. 충북도가 민선 5기인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관내 보급한 태양광은 163MW 규모다. 이 중 괴산군 소수면 태양광 발전소는 주민참여형 모델의 선례로 거론된다. 2012년부터 이어온 ‘솔라 페스티벌’은 올해 12회째를 맞을 예정이다. 친환경에너지 신산업 육성은 충북도에 던져진 화두다. 충북도는 2018년 조직개편을 통해 경제통상국 산하에 에너지과를 두었다. 충북도 에너지과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등 6개 사업을 통한 태양광 발전 보급이 진행 중이며 9월에는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가 준공을 앞두고 있다. 충북도 김두환 경제통상국장은 “지속가능한 친환경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해 태양광 보급은 중요하다”며 말을 이었다.  

충북 제천 축산농가에 보급된 지붕 태양광패널 [사진=충청북도] 

에너지과가 2018년 신설됐다고 들었다

민선8기 역점을 두고 있는 것 중 하나는 ‘탄소중립 기반의 미래 에너지신산업 육성’이다. 에너지과는 이에 특화된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에너지정책팀, 신재생에너지팀, 생활에너지팀 등 3개팀에 총 14명이 근무하고 있다. 태양광 보급과 더불어 수소 등 기타 사업에도 행정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특장차 수소파워팩 기술개발 지원사업, 바이오가스 활용 청정수소 생산시설구축,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등 내용이다. 대청댐·충주댐 등 수자원을 활용한 수열에너지 융복합 특화단지 조성도 주요 현안이다.

국내 최초로 태양광 산업 특구를 구축했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인 민선 5기는 태양광 보급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다. 단독주택, 경로당, 비영리시설 등을 대상으로 20여개 보급 사업이 진행됐다. 총 4만9,173개소에 보급된 누적용량은 163MW로 집계된다. 이 기간 사업비로 4,474억원 가량을 투입했다. 2011년 태양광 산업 특구로 지정된 것이 큰 동력원이 됐다고 보여진다. 2017년엔 대통령 표창 수상이란 성과도 거뒀다. 관련된 69개사들이 모인 태양광 기업 집적화 체계가 구축됐고 R&D 기반의 태양광 클러스터가 마련됐다.   

충북도가 주최한 ‘2022 솔라 페스티벌’ 당시 [사진=충청북도]  

태양광 R&D 클러스터는 어떻게 구성되나 

연구부터 사업화 및 유지관리까지의 종합적인 네트워크로 설명할 수 있다. 태양광기술지원센터, 태양광아이디어시제품 사업화지원센터, 태양광 모듈연구지원센터,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기반 태양광 O&M 체계도 들어가 있다. 전국 최고 수준을 자부한다. 충북도는 6개 시군(청주, 충주, 증평, 진천, 괴산, 음성)이 함께하는 전국 최초 광역형 태양광 산업 특구로 지정받았다.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여전한 이슈다. 충북도의 올해 역할은 무엇인가?

6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충북 음성에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준공을 앞두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및 태양광 주택보급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이 외에 건물형 태양광 보급사업, 축산농가 태양광 보급사업, 산업단지 건물 태양광 보급사업,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반 조성사업이 있다. 올해 태양광 보급 목표치는 약 19MW다. 무엇보다 주민수용성 확보라는 중요한 과제를 빼놓을 수 없다. 도민 인식 제고 차원에서 진행해 온 솔라 페스티벌은 9월말 개최할 것이다. 참고로 올해부턴 ‘친환경에너지 페스티벌’로 명칭을 바꿨다. 태양광에서 수소 등으로까지 에너지 다변화를 꾀한다는 취지다. 

충청북도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사진=충청북도]

주민수용성을 강조했는 데

태양광 보급의 지속성을 위한 필수다. 주민참여형 모델을 꾸준히 발굴하고 새로운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역별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광역지자체 단위의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 기존 우수 사례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충북 괴산군 소수면에 있는 태양광 발전소는 주민참여형 상생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마을 주민들이 소유하고 있던 부지 약 5만4,000평에 16MW 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한 사례다. 현재 60여명의 마을주민들은 매월 1인당 50만원씩의 임대료를 지급받고 있다. 마을 주민들 대부분은 70세 이상의 고령자들인 데 연금처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하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선 더욱 다양하고 내실있는 ‘수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 도는 2030년까지 태양광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으로 총 56MW 보급을 목표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반 조성을 통해서도 7MW 이상의 보급을 계획한다. 이대로라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에 2030년까지 총 3,8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예상된다. 충북은 전국 최고의 태양광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충북 에너지산업이 다시 한번 도약하는 계기를 창출해야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