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트렌드] K-배터리, 이차전지 수출 변동 최대 요인… ‘해외 생산 증대’
  • 이건오 기자
  • 승인 2024.04.16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역협회,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과 향후 전개 방향’ 보고서 발간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2023년 국내 이차전지 수출이 전년 대비 1.5% 감소하면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출구조 변동은 K-배터리 기업의 ‘해외 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생산 비중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23년 국내 이차전지 수출이 전년 대비 1.5% 감소하면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사진=gettyimage]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4월 15일 발간한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과 향후 전개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K-배터리 3사의 해외 생산 비중은 92.4%로 배터리의 국내 생산 비중은 1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공장에서 생산 후 판매되는 배터리는 국내 통관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수출 금액으로 집계되지 않는다.

이에 지난해 우리나라 이차전지 수출은 98.3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K-배터리의 글로벌 사용량은 2022년 대비 29.6%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2023년 1~12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705.5GWh, 전년 동기 대비 38.6% 성장 [자료=SNE리서치]

우리 기업의 주요 생산 거점인 헝가리와 폴란드의 이차전지 수출 금액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3년 1~9월 기준 세계 이차전지 상위 5대 수출국 중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헝가리(66.2%)와 폴란드(65.9%)로, 중국(32.4%)을 크게 상회했다. 폴란드는 LG에너지솔루션 총생산의 47.5%, 헝가리는 삼성SDI 총생산의 77.1%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 거점이다.

보고서는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으로 △이차전지 해외 생산 확대 외에도 △중국기업과의 경쟁 및 LFP배터리 선호도 증가 △전기차 수요 둔화를 꼽았다. 우리나라 배터리 수출에 대한 각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해외 생산 확대(2.44%)’가 수출 변동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기업과의 경쟁 및 LFP배터리 선호도 증가’와 ‘전기차 수요 둔화’가 수출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0.76%, 0.75%로 나타나 영향력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이차전지 상위 5대 수출국의 수출 동향(2023년 1~9월 데이터가 존재하는 71개국 기준) [자료=한국무역협회, K-stat, UN Comtrade]

올해 하반기 중 미국 금리가 인하될 경우, 주요국의 점진적 경기 개선에 힘입은 전기차·배터리 수요 회복이 예상돼 이차전지 산업도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한 중국산 배터리 견제로 인한 우리 기업의 반사이익도 기대된다.

최근 원료 광물 가격 하락세가 둔화되는 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원가 상승은 기업에 불리하지만, 이차전지 산업은 납품 단가가 원자재 가격과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 광물 가격이 상승하면 원자재 구매와 완제품 납품 간 시차로 인해 수익성이 개선된다.

각 요인이 배터리 수출 변동을 설명하는 비중(5% 이상 범위는 그림에서 생략) [자료=저자 계산]

한국무역협회 도원빈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배터리 수출이 감소한 것은 우리 기업의 경쟁력 약화가 아닌 해외 생산 확대에 따른 현상”이라면서, “2023년 K-배터리의 실제 사용량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23.1%로 수출 점유율(2023년 1~9월 6.6%) 대비 3배 이상 높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다만 안정적인 공급망의 구축을 위해 국내 이차전지 제조시설의 확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자국 내 배터리 제조시설에 30%에 달하는 투자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어 우리도 경쟁국과 동등한 투자 환경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