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업용 태양광 신규 보급 3.16GW… 2021년 이후 연간 3GW 시장 재진입
  • 정한교 기자
  • 승인 2025.02.03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단태양광 활성화, 태양광 투자여견 개선 등이 시장 회복 이끌어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지난해 국내에 설치된 신규 사업용 태양광발전소가 3GW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 다시금 3GW대 시장으로의 복귀이다.

지난해 국내 사업용 태양광 신규 설치용량 약 3.16GW를 기록, 2021년 이후 다시 3GW대를 회복했다. [사진=gettyimage]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2024년 사업용 태양광 보급현황(잠정)에 대해 신규 설치용량 약 3.16GW를 기록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2024년까지 사업용 태양광 누적 보급용량은 약 27.1GW를 달성했으며, 신규 보급용량은 2020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다가 2022년 이후 증가추세로 전환됐다고 산업부는 평가했다.

또한, 이번 성과는 보급여건이 양호한 입지개발 유도, 투자여건 개선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달성됐으며, 특히 ‘공장부지(지목)’ 내 태양광 설치 증가가 보급 확대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사업용 태양광 신규보급 추이(단위: GW) [출처=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24년 ‘공장부지(지목)’에 설치된 태양광은 약 809MW로, 전년 대비 64%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7월 발표한 「산단 태양광 활성화방안」의 효과와 더불어, 비교적 양호한 계통·주민 수용성에 기반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태양광 모듈가격 하락,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단가상승 등에 따라 태양광 투자여건이 개선되면서 보급 증가를 뒷받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전남(542MW), 경북(538MW), 충남(521MW), 경기(370MW) 등이 주요 보급지역으로 꼽혔다. 특히, 경북·경기의 경우, ’공장부지‘에 설치된 태양광 보급 확대 영향 등에 따라 각각 전년 대비 49%, 108% 상승해 두드러진 보급 증가추세를 보였다. 지목 별로는 공장용지(809MW), 답(596MW), 전(419MW) 순으로 보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정경록 재생에너지정책관은 “2024년 사업용 태양광 보급 성과는 전력망 부족 등 어려운 태양광 보급 여건하에서 달성한 값진 성과”라고 평가하며, “금년에도 산단, 주차장 등 태양광 우수입지 발굴을 추진하고 영농형의 경우 표준모델 수립 등 본격 도입을 대비한 보급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태양광 부지확보, 관련규제 개선 등을 위한 관계부처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전력망 여건을 고려한 질서있는 태양광 보급을 추진하면서,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한 태양광 산업생태계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