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SK텔레콤은 경찰청과의 협력을 통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2610건의 악성앱을 발견, 차단 조치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16일 밝혔다.
SKT는 경찰청과 협조해 악성앱 설치 의심고객을 확인, 경찰이 직접 피해자에게 출동해 즉시 삭제 조치를 하는 등 4개월 간 약 1070억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이번 악성앱 차단 협력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뤄졌다.
SKT는 1차적으로 보이스피싱 악성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AI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유포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차단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받은 악성 도메인과 IP를 추적해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SKT가 경찰청의 영장 집행을 통해 AI 모델 기반의 분석을 통한 악성앱 설치 가능성이 있는 고객군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하면, 경찰청은 출동 경찰관이 직접 악성앱이 설치된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가 악성앱을 직접 삭제, 조치해 피해를 줄였다.
SKT와 경찰청의 이같은 협력은 악성앱 설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서 2차적인 금융 사기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했다는 것에 의미가 매우 크다고 회사 측은 평가했다.
최근 횡행하고 있는 스미싱 범죄는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부고, 청첩장 등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해당 URL을 누르고 악성앱이 설치돼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식이다.
SKT는 최근 악성앱이 연락처나 문자메시지, 위치 등에 대한 과도한 접근 권한을 요구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소액결제 사기, 비대면계좌 개설 등 금융사기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악성앱 등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023년 4472억원에서 2024년 854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한편 SKT는 지난해 7월부터 서비스 이용 동의를 받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끼 문자 AI탐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누적 약 9700건의 미끼 문자를 탐지해 고객 피해를 예방한 바 있다.
SKT 손영규 정보보호실장은 "경찰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악성앱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보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이 협력해 각종 보이스피싱 등 피해 예방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