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의 신규 채용 인원이 줄고 기존 직원의 퇴직률은 감소하면서 인력 정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하고 신규 채용·퇴직 인원을 공개한 128개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들 128곳의 지난해 신규 채용 인원은 16만5961명으로 2022년(21만717명)에 비해 21.2% 감소했고, 2021년(18만7673명)보다 11.6% 줄어 2년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신규채용을 줄인 곳은 조사대상 기업의 63%인 81개사였고, 신규채용을 늘린 곳은 37%(43개)에 불과했다.
반면 같은 기간 직원 퇴직율은 감소했다. 조사대상 기업 중 퇴직 인원을 공개한 88개사의 지난해 퇴직 인원은 총 7만1530명으로 전년도(8만8423명)에 비해 19.1% 줄었다.
연령대별 신규 채용 인원의 보면 인력 경직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사회초년생인 20대의 신규 채용은 2021년 8만394명에서 지난해 7만2476명으로 약 8000명(–9.8%) 감소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50세 이상 채용 인원은 6114명에서 9457명으로 3343명이 늘어 54.7%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기업에서 경력직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리더스인덱스는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의 신규 채용 인원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2021년 7만645명을 채용했으나, 2년 새 2만5205명(35.7%)이 줄어든 4만5440명을 새로 뽑았다.
이어 같은 기간 2차전지 업종은 1만9151명에서 1만413명으로 8738명(–45.6%), 유통업은 1만3201명에서 8977명으로 4224명(32.0%), IT서비스업은 6442명에서 4759명으로 1683명(26.1%) 각각 감소했다.
한편 신규 채용 인원에서 여성은 지난해 5만3538명으로 전년도(6만5709명)에 비해 18.5% 감소했지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p(31.2%→32.3%) 상승했다. 이 기간 중여성 신규 채용 비중이 30%를 넘어선 기업은 조사 대상 기업의 43.7%인 56개사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