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정부가 한미 양국이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기관 간 약정(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양국이 가서명한 내용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외교부는 8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 및 국무부와 이 같은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MOU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서명됐다.
양국은 MOU 체결 뒤 배포한 공동 보도자료에서 “한미 양국은 70년 넘게 민간 원자력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며 “이러한 협력의 초석은 최고 수준의 원자력 안전, 안보, 안전조치 및 비확산 기준에 따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양국의 상호 헌신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이번 MOU는 양국의 오랜 파트너십에 기반하고 있다”며 “민간 원자력 기술에 대한 양국의 수출통제 관리를 강화하는 가운데 제3국의 민간 원자력 발전 확대를 위한 양측 기관 간 협력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어 “양국이 원자력 분야의 새로운 기술 등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협력 경로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MOU가 △양국 간 원자력 평화적 이용 촉진을 위한 원전 협력 원칙을 재확인하고 △제3국으로 민간 원자력 기술 이전 시 정보 공유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양국 간 수출통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MOU 서명은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으로서 양국 간 깊은 신뢰에 기반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양국 간 호혜적 협력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