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로봇 기술개발로 국내 로봇 산업 키운다
  • 박규찬 기자
  • 승인 2018.10.29 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로봇 산업이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공장 디지털화에 따른 지능형 로봇 시장도 동반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중심보다 중소기업 중심의 지능형 로봇 산업 키워야

[인더스트리뉴스 박규찬 기자] 산업용 로봇의 스마트화와 지능화가 지속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국내도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한 로봇의 핵심기술 확보와 부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발 및 상용화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정부의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발표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지능형 로봇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진=iclickart]
정부의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 발표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지능형 로봇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진=iclickart]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204억달러로 전체 비중의 17.6%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용 로봇과 5.9%를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용 로봇의 동반성장에 힘입어 전년대비 13.2% 증가했다. 제조용 로봇은 중국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전기·전자, 식음료 산업 수요 증가가 시장성장을 견인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의료, 물류, 가정용 로봇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전문서비스용 로봇 및 부품 생산이 대폭 성장해 2016년 국내 로봇 시장은 전년대비 12.9% 성장한 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제조용 로봇은 2조7,000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9.1% 증가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7,074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21.2% 증가했다. 

국내 로봇 산업은 로봇 기업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나 전문화와 대형화되고 있는 글로벌 경쟁체체에 대응 가능한 규모있는 기업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간 인수합병 및 자회사 설립, 사업 확장 그리고 신구진입 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활약이 기대된다. 

LG전자는 지난해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 기업인 SG로보틱스를 시작으로 교육용 로봇, 부품 기업인 로보티즈, 그리고 제조용 로봇기업인 로보스타 등 로봇기업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5년간 로봇OS, 클라우드 플랫폼, 로봇비전, 딥러닝 등 로봇관련 분야와 무인자동차 등 미래성장 분야에 1,00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7년에는 3차원 지도 제작 로봇 M1을 공개하고 현대로보틱스와 자율주행 로봇 관련 MOU를 올해 5월 체결했다. 

한화정밀기계는 2017년 국내 기업 최호로 협동로봇 HCR-5를 출시하며 산업용 로봇 시장에 진출했다. 두산로보틱스 역시 지난해 협동로봇 모델 4종을 발표하며 로봇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는 등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국내 로봇 시장 활성화가 기대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로봇 산업이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공장 디지털화에 따른 지능형 로봇 시장도 동반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dreamstime]
최근 전 세계적으로 로봇 산업이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공장 디지털화에 따른 지능형 로봇 시장도 동반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dreamstime]

이에 정부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발표하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지능형 로봇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 확산·서비스 수요증가 등에 대응해 성장가능성이 크고 내수기반이 갖춰진 유망품목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동으로 인공지능이 웅합된 차세대 첨단 로봇 개발에 신규 착수했으며 AI-로봇 융합 프로젝트로 휴먼케어 로봇에 78억원, 무인경비로봇에 26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소제조, 부품,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활용 효과성 검증을 통해 사업화 성공사례를 도출해 로봇시장 확대에 나선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로봇산업에서 총 1,073억원의 신규매출이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로봇 R&D 성과 향상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범부처 수요와 연계해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로봇 상용화 기술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유망 로봇융합 제품 및 로봇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원천기술/부품, 제조/서비스 융합 제품 등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산업부는 올해 로봇비즈니스벨트조성사업에 137억원을 투자하며 제조로봇 신시장 창출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특수 제조환경용 제조로봇 개발 및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협동로봇, 유망 서비스로봇의 시장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 및 수요기관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로봇산업은 정부의 지원정책도 좋지만 기업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내수 시장에서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실행계획은 이 같은 내용도 포함하고 있지만 대기업이 아닌 중소 로봇제조 기업이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