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AGV 시장, 수입의존도 높아…자체 기술력 확보 필요
[인더스트리뉴스 박규찬 기자] 제조혁신을 위한 지능형 공장, 스마트팩토리 보급이 세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생산 환경이 기존의 기업 중심 구조에서 소비자 중심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나아가 생산 방식도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전환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제조 물류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수요산업의 변화에 따라 물류로봇 또한 크게 성장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물류로봇은 최근 3년간 판매량 기준으로 연평균 36%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 유수의 전문기관들은 향후 세계적으로 물류분야의 생산성 향상과 자동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 예상됨에 따라 2020년을 기준으로 연평균 최소 10%에서 최대 약 35%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물류로봇은 전통적인 기계, 전기·전자, 재료 등 다양한 후방산업과 최근 무선기술, 이동 및 제어기술, IT, 인공지능 등 ICT에 대한 기술 비중이 증가 추세에 있어 IT,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로봇기술 등 혁신기술의 융복합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긍정적인 연쇄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대표적 물류이송로봇으로 꼽히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는 자체 동력을 바탕으로 사람이 조작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바닥의 정의된 경로 또는 완전한 자율로 움직이는 무인이송로봇으로 일반 제조, 자동차 등 제조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창고·물류터, 병원·요양시설, 호텔·공항·공공장소 등 비-제조 환경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대기업 중심으로 물류 및 관련 분야의 설비자동화가 2000년대 중반부터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중소기업에서는 여전히 인력을 통한 수작업으로 물류작업을 진행하고 있어 AGV 등 물류이송 로봇시스템의 시장 확대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 AGV 제조업체에서는 자체 특허 및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수입제품 가격대비 우수한 경쟁력을 갖춰 기존 수입시장의 대체 및 추가적인 수요 확보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AGV 시장은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다. 일부 중소 로봇업체들이 기술력을 축적, 자체 기술에 의한 제품 개발 및 출시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기존 수입제품 가격대비 우수한 경쟁력을 갖춰 기존 수입시장의 대체 및 추가적인 수요확보에 나서고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백봉현 전문위원은 국내 물류로봇 도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물류로봇 하드웨어와 시스템 기술의 고도화 및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백 전문위원은 “자율주행, 피킹, 파지기술의 개발 및 고도화가 필요하고 중소 물류창고, 제조업 등에 적합한 형태로 WMS, WCS, MES에 연계된 MS(로봇관제시스템)의 개발도 필요하다”며, “수요처의 낮은 도입 인식, 우려 등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에 적용되는 성공 모델, 사례 발굴과 이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를 위해서는 보급형 표준 공정 모델의 발굴-개발-시범적용-확산 등의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백 전문위원은 “기술 고도화와 성공 모델 발굴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물류로봇기업과 엔지니어링·SI기업 간 협력 강화가 선행돼야 한다”며, “협력은 공동 기술개발, 국내 마케팅, 그리고 이의 실적을 바탕으로 하는 해외 진출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중소·중견기업, 특히 창고를 임대하거나 2자, 3자 물류의 경우 고정비, 투자비용의 경감을 위해서는 렌탈 또는 RssS(Robot as a Service)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