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주 총괄 "물가상승률, 물가안정 목표인 2% 초과하지 않도록 긴축 통화정책 필요"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최근 물가 상승률이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KDI(한국개발연구원)은 통화정책 긴축 강도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까지 내려간 것과 관련, KDI는 이같은 물가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KDI는 11일 발표한 ‘최근 물가 변동 요인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으로 △기준금리 △재정정책 △지정학적 요인 △공급 충격을 제시했다.
기준금리, 물가에 가장 큰 영향 미쳐
KDI는 특히 기준금리 변동이 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기준금리를 1%p 내리면 물가상승률은 약 0.2%p 오르고 그 효과는 2년 동안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재정정책의 경우 정부 지출이 GDP(국내총생산) 대비 1%p 증가하면 물가가 최대 0.2%p 상승하며 그 영향은 1년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책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이후의 보복 소비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같은 지정학적 충돌이 물가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런 요인들이 1~2년 동안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KDI는 설명했다.
KDI는 2022년부터 누적된 고금리 정책이 현재 물가 상승률을 약 0.8%p 낮추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 뿐만 아니라 물가상승에 기여했던 확장적 재정정책의 영향도 지난 2분기 이후 서서히 축소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소비 증가와 전쟁으로 인한 충격도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 "당분간 통화정책 조정 필요"
KDI 황선주 경제전망실 모형총괄은 "물가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물가 상승률이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초과하지 않도록 통화정책의 긴축 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정정책의 경우 코로나19 이전보다 여전히 확장적이므로 현 수준의 신중한 유지를 권고했다.
한편, 이번 전망에서 물가 둔화가 언제까지 이어질 지에 대해서는 12일 발표될 KDI 경제전망에서 보다 구체적인 수치가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