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최종 전략을 점검하며 3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전북자치도는 11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용역 성과를 공유하며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news/photo/202502/60053_68168_538.jpg)
이번 보고회에는 RE100 에너지솔루션 얼라이언스 위원, 시군 관계자, 관계기관,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해 특화지역 모델을 검토하고 최종 의견을 수렴했다.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핵심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를 직접 거래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북자치도는 지역 특성에 맞춘 최적의 특화지역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을 추진했으며, 지난해 12월 중간보고회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을 거쳤다.
전북자치도가 추진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모델은 △산업단지 중심 에너지 공급 확대 △농촌 지역 에너지 자립 실현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설정됐다.
먼저 산업단지 중심 모델은 새만금 산업단지 내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기업들의 RE100 달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새만금을 글로벌 친환경 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전략이다.
아울러 농촌 지역 모델은 지역 내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스마트 농업 및 지역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농촌 경제 활성화와 에너지 복지를 함께 도모하는 전북형 지속가능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반영해 특화지역 계획을 보완한 뒤 3월 산업부 공모에 신청할 예정이다.
전북자치도 배주현 청정에너지수소과장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전북이 친환경 에너지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산업부 공모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자체, 기업, 관계기관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