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6명, '고려아연 인수시도' MBK 등 사모펀드에 부정적"
  • 홍윤기 기자
  • 승인 2024.12.24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 대상 설문조사...부정적 답변 57.5%
MBK 고려아연 인수 시 중국 등으로 기술 유출 가능성에 64.8% '동의'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 사진 = MBK파트너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 사진 = MBK파트너스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최근 고려아연 경영권을 두고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과 MBK·영풍 연합의 대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에 도입된 지 20년이 된 사모펀드(PEF)에 대한 국민 여론이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모펀드가 산업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부정적 인식의 주된 요인이라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와 이데일리가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57.5%가 사모펀드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견해를 밝힌 것으로 집계됐다.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긍정적이라는 응답(21.9%)보다 세배 가까이 높은 수치여서 부정적 여론이 매우 광범위하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또 사모펀드의 기업 인수 합병이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6명은 "부정적"이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19%에 그쳤다. 사모펀드들이 기업에 대한 인수 과정에서 내세우고 있는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회복 등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61.1%에 달했다. 신뢰한다는 답변은 18.6%에 불과해 대조를 보였다.

올해 크게 주목받았던 고려아연 사례를 비롯해 한진칼과 한국앤컴퍼니, 금호석유화학 등 곳곳에서 사모펀드의 개입으로 갈등이 격화하면서 전국적으로 우려의 시선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주요 주주 간 지분율 격차가 크지 않거나 경영권 승계 등 잠재적 갈등 요인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사모펀드의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가장 이슈로 꼽히는 고려아연 사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여론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모펀드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단기차익 실현 등을 추구해 기업가치가 하락하고 장기적인 성장성 훼손될 것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무려 60.5%로 나타났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22.5%에 불과했다.

사모펀드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중국 등 해외로 매각하거나 기술과 핵심인력이 유출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4.8%가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22.8%로 나타났다.

이같은 여론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사모펀드가 단기적인 수익 극대화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모펀드는 인수한 기업의 몸값을 올려 되파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기 때문에 기업의 미래 성장성 보다는 단기 실적 확대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에 대한 인수 시도는 국가핵심기술과 국가첨단전략기술을 보유한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인수 시도라는 점에서 사모펀드 MBK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더욱 거세질 수 밖에 없는 형국이다.

사모펀드의 M&A에 대한 대응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5%가 '규제 강화'를 선택했고 이어 33.6%가 '경영권 방어 수단 강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재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차등 의결권, 포이즌필 등 주요 경영권 방어 수단을 모두 불허하고 있다"며 "안정적인 경영권이 확보돼야만 기업도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한국의 경우 공적자금 투입에 한계가 있는 만큼 사모펀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상당하다"며 "다만 사모펀드의 영향력이 커진 만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어, 덩치에 걸맞은 책임과 역할론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