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대미 수출, 아세안 국가 통한 우회 수출에서 둔화 보일 것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트럼프 미 행정부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예상보다 가혹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캐슬린 오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3일 발표한 보고서 '상호관세: 예상보다 가혹한 관세'에서 반도체와 같은 주요 품목은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역외 부품 조립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이는 안도감을 거의 주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추가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돼야 정확한 영향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반도체와 IT 제품에 대해만 관세를 계산했을 때 한국의 수출에는 30bp(1bp=0.01%포인트) 정도의 하방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하방 리스크가 2018~2019년 무역 갈등보다 더 클 것"이라며, 특히 4월에는 대미 수출과 아세안 국가를 통한 우회 수출 모두에서 의미 있는 둔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런 리스크가 한국의 정책 입안자에게 큰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의 통화 정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 6개월 동안 금리를 75bp 인하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은행은 4월에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5월에는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고 금리를 현행 2.75%에서 2.5%로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2025년 말에는 금리가 2%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