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국내 철강업계 1·2위가 미국에서 뜻을 모아 공동투자에 나서는 철강 ‘빅딜’이 성사됐다. 이는 포스코가 현대차그룹·현대제철이 2029년 설립할 예정인 미국 루이지애나주 전기로 제철소에 공동 투자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뤄지게 됐다.
포스코의 이번 투자로 중국발 장기 불황, 높아지는 친환경 요구, 트럼프 2기의 관세 장벽 등 난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포스코그룹은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자동차 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글로벌 경제블록화 및 급변하는 통상환경 아래 탄소저감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양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시너지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미래 모빌리티용 강재와 이차전지소재의 공급자로 자리매김한다.
현대차그룹은 맞춤형 고급소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철강 자회사 현대제철은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내아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며, 현대차그룹은 이 제철소에 대한 투자금 총 58억달러(8조5000억원) 가운데 절반은 외부 차입으로 충당한다는 구상이었다.
따라서 외부 차입에 포스코가 낙점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25%의 고율 관세까지 부과하면서 미국 시장에서 포스코의 부담도 커지는 상황이었던 데다, 미국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50만t 규모의 열연강판을 수출하는 철강업계의 핵심 시장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포스코그룹은 이번 합작투자를 통해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장벽으로 제한됐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이 투자 파트너로 거론됐을 당시만해도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일축했으나, 이날로 투자가 현실화되면서 양사가 불확실한 통상환경을 공동으로 타개해 나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철강사업회사 포스코는 미국과 멕시코지역에 원활한 소재를 공급할 수 있어 유연한 글로벌 생산 및 판매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된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을 비롯해 북미(미국·멕시코)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도 현대차그룹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에 성공하면서,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후 전기차 시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 회사 포스코퓨처엠은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 경쟁력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을 시너지로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개발 분야 등에서 양사가 지속가능한 협업점을 찾는다는 복안이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성장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