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202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상태양광 발전 설비가 10GW 신규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수상태양광의 해외 보급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전 세계 설치된 수상태양광 설비 규모는 201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18년 1.3GW, 2019년 2.4GW에 달했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는 3GW로 추정된다. 시장분석기관 피치솔루션은 전세계 수상태양광 발전 설비가 2025년까지 10GW가 신규로 보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잠재력 높은 수상태양광
블룸버그가 12개 국가(한국, 중국, 태국, 베트남, 라오스, 인도, 대만, 그리스, 네덜란드,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올해 1월 기준으로 가동하거나 계획 중인 수상태양광 발전 용량은 약 15.5GW로 추산된다.
이 중에서 한국과 중국이 합계용량 기준 최상위 2개 국가다. 한국과 중국의 수상태양광 규모는 각각 3.7GW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동 및 추진 중인 물량을 합해 1GW가 넘는 국가는 한국 중국 외에 태국, 베트남, 라오스 등 총 5개국인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상업 운전 중인 수상태양광은 한국이 115MW, 중국 1.4GW, 일본 190MW, 베트남 118MW다.
보고서는 수상태양광 잠재력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전 세계 인공저수지 수면적은 40만㎢에 달하는데, 이 중 1%만 활용해도 수상태양광 용량은 400GW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이는 2017년 말 기준 전 세계 총 태양광발전 설비 규모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전 세계 인공저수지의 3분의 1에 대해서 표면적의 10%만 활용해도 수상태양광시장은 1,000GW 규모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부의 수상태양광 재정‧정책지원
보고서는 각국 정부가 수상태양광 보급을 지원하는 방식은 현재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첫 번째는 재정지원이다. 대만과 중국에서는 수상태양광에 지상태양광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차액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수상태양광의 경우 일반부지나 임야에 태양광을 설치할 때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가 높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는 특정 조건하의 수상태양광에 대해 0.03달러/kWh의 위치 기반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두 번째는 정부의 지원정책이다. 한국, 대만, 중국은 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수상태양광을 지원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원 중에서 태양광이 가장 보급이 용이한 편이기 때문이다. 인도 케랄라주는 수상태양광 시범사업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대만, 중국, 인도는 수상태양광 전용 입찰사업을 진행했다. 한국, 싱가폴, 네덜란드 등의 수역 관리기관들은 수상태양광 설치에 대한 임대계약 입찰을 여는 등 기술에 높은 수용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수환경 유해성과 주민수용성 해결이 성공의 키포인트
수상태양광의 국내 보급은 저수지와 댐의 관리기관인 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와 발전자회사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리포트에 따르면 2021년 1월 기준으로 국내에는 총 115MW의 수상태양광이 상업운전 중이다. 이 외에도 추진이 발표된 수상태양광 발전용량은 총 668MW고, 자금이 확보된 사업은 총 51MW다. 허가된 수상태양광 사업의 발전용량은 2,905MW다. 추진 중이거나 가동 중인 용량을 합하면 총 3,739MW다.
보고서는 수상태양광 보급의 주요 이슈로 수환경 유해성 여부와 주민수용성을 꼽았다.
주민수용성 문제에서는 주민들이 반대하는 주된 이슈를 해결하거나, 다른 인센티브를 제공해 만족시키는 것이 주된 과제라고 밝혔다. 모범으로는 한수원 사례를 꼽았다. 한수원은 발전소 인근 망향의동산을 재정비하고 포토존과 전망대를 설치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등 지자체와 상생 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사업자는 수상태양광 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익의 일부를 주민들과 공유할 방안을 마련해 주민들에게 제안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주민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 미관을 고려해 시스템 외관을 디자인하거나 야관 경관 조명, 분수 등을 설비에 추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전체 수면적 중 수상태양광 설비 사용비율을 주민과 협의해 정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며 예상 발전수익의 일정 비율을 인근지역 지원사업에 사용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