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글로벌, 韓 조선 '빅3' LNG선 12척 발주 가능성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달러(약 21억원)의 수수료 부과를 추진하는 가운데 올해 1분기 중국의 벌크선 수주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주력 선종인 벌크선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외신 등에 따르면 조선·해운 전문지인 트레이드윈즈는 조선·해운시황 하우 로빈슨 통계를 인용해 올해 1분기 중국 조선 업체들에 대한 벌크선 주문량이 13건에 그쳤다고 전했다.
이는 1993년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은 주문량이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90.9%나 급감했다.
벌크선은 철강, 석탄 등을 실어 나르는 선박을 말한다. 중국의 주력 선종이기도 한데,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의 수주 점유율이 60%대에 육박할 정도다.
트레이드윈즈는 USTR의 수수료 부과 계획이 중국 벌크선 수주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앞서 USTR은 올해 1월 중국 선사와 중국산 선박을 무역법 301조에 따른 제재 대상에 올린 바 있다. 이에 따라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의 해운, 물류 및 조선업에 대한 재정 지원, 외국 기업에 대한 장벽 등으로 미국 상업 활동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행위가 발생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여기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이러한 미국의 중국 견제가 한국 조선업계에는 반사이익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트레이드윈즈는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업체 벤처 글로벌이 최근 한국을 찾아 국내 '빅3' 조선업체인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했다고 밝혔다.
중국 벌크선에 대한 견제로 인해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인 LNG 운반선이 되레 주목받고 있는 모양새다.
벤처 글로벌은 18만㎥급 LNG운반선 4척에 옵션 8척을 더해 최대 12척 발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는데 계약은 이르면 올해 2분기 말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